![]() |
업종평균에 비해서 변동폭 대비 수익률은 긍정적 22일 오후 1시35분 현재 전일대비 2.71% 오른 49,300원을 기록하고 있는 유니드는 지난 1개월간 2.38% 하락했다. 같은 기간동안 변동성의 크기를 말해주는 표준편차는 1.1%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피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유니드의 월간 변동성이 가장 작았던 만큼 주가하락률도 주요종목군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유니드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2.1을 기록했는데, 변동성은 가장 낮았지만 주가가 하락했기 때문에 위험대비 수익률은 저조한 수준을 나타냈다. 그러나 코스피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7.6보다는 높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는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유니드가 속해 있는 코스피업종은 화학지수보다 변동성은 낮고, 수익률은 높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업종등락률이 마이너스지만 지수에 비해서는 안전하게 선방하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
![]() |
표준편차 | 수익율 | 위험대비 수익율 | |
LG하우시스 | 1.9% | -17.9% | -9.4 |
효성화학 | 1.6% | 0.7% | 0.4 |
한국쉘석유 | 1.3% | 3.5% | 2.7 |
미원에스씨 | 1.3% | -0.4% | -0.3 |
유니드 | 1.1% | -2.4% | -2.1 |
화학 | 1.1% | -10.1% | -9.1 |
코스피 | 0.9% | -6.9% | -7.6 |
관련종목들 혼조세, 화학업종 +0.13% |
효성화학 | 142,000원 ▲2500(+1.79%) | 미원에스씨 | 73,000원 ▼300(-0.41%) |
LG하우시스 | 55,600원 ▼400(-0.71%) | 한국쉘석유 | 336,500원 ▲18000(+5.65%) |
증권사 목표주가 68,000원, 현재주가 대비 37% 추가 상승여력 |
3월14일에 유니드 4/4분기(2018년10월~12월)실적 발표됨 |
<발표치>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4/4분기 | 2,137.0억 | 195.0억 | 72.0억 |
직전분기 대비 | 4.4% 증가 | 7.6% 감소 | 46.4% 감소 |
전년동기 대비 |
기관/개인 순매수, 외국인은 순매도(한달누적) 기관이 2일연속 순매수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외국인은 2일연속 순매도를 보이고 있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기관이 방향성있는 매매를 하면서 20,080주를 순매수했고, 개인들도 순매수량을 늘리며 8,816주를 순매수했다. 반면 그 동안 외국인은 매도 우위를 지속하면서 41,837주를 순매도했다. |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
![]() |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18%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유니드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18%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2.43%를 나타내고 있다. 거래비중 기관 30.23%, 외국인 27.61%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38.91%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기관이 30.23%를 보였으며 외국인은 27.61%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외국인 비중이 39.48%로 가장 높았고, 개인이 32.11%로 그 뒤를 이었다. 기관은 27.52%를 나타냈다. |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
![]() |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
투심 약세 ,거래량 침체, 현재주가는 보통 |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특정 방향으로의 추세는 확인되지 않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침체국면에 머물러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약세흐름에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느끼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수렴하는 추세 변곡점에 도달하고 있다. |
주요 매물구간인 46,300원선이 지지대로 작용. |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