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기준 서비스업 취업비중 70% 도달...한은, 2015년 고용표 결과 발표

서비스업 취업자 비중이 70%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하지만 음식점·숙박 서비스, 사업지원서비스 등 주요 서비스 업종 고용창출 능력은 크게 감소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은행은 28일 발표한 '2015년 고용표 작성 결과'에 따르면 2015년 취업자 수(전업환산기준)는 2383만명으로 2010년(2142만명) 대비 11.2% 증가했다.

이번 고용표는 5년마다 작성하는 2015년 기준년 산업연관표 부속표다. 노동파급효과 분석과 인력수급계획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고용표상 취업자란 상용 및 임시·일용직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 및 무급 가족종사자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실제 투입된 노동량을 추정하고자 근로자가 제공하는 근무시간을 전업 근로자의 연간평균 근로시간으로 나눠 산정(전업환산)하므로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상 취업자 수와는 차이가 있다.

부문별 취업자를 보면 서비스업 취업자 비중이 2010년 68.9%에서 2015년 70.5%로 커져 70%를 돌파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서비스업 고용 비중(2015년 기준 74.4%)에 근접했다.

서비스 업종의 취업자 비중은 커졌지만 고용 창출 능력은 떨어졌다.

취업계수는 2010년 6.8명에서 2015년 6.2명으로 5년새 0.6명 하락했다. 특히 서비스업 취업계수가 11.6명에서 9.8명으로 하락해 '10명대'에서 떨어졌다.

취업계수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10억원을 생산할 때 필요한 취업자 수로,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견줘 취업자가 얼마나 늘어났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취업유발계수도 5년 새 13.8명에서 11.8명으로 2.0명 하락했다.

취업유발계수는 특정 상품에 대한 최종 수요가 10억원 발생할 경우 해당 상품을 포함한 모든 상품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 수를 의미한다.

생산유발계수가 5년간 비슷했음에도 취업계수가 낮아진 여파가 미쳤다.

품목별로는 농림수산품(36.1→26.9명), 사업지원서비스(23.8→19.5명),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26.5→22.4명), 음식료품(18.7→14.4명) 등의 취업유발계수가 크게 하락했다.

반면, 자동차 등 운송장비 품목은 해당 부문 생산유발계수가 커지면서 취업유발계수도 7.5명에서 8.2명으로 확대됐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