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 유전자에 따른 흡연 무관 폐선암 발암 과정](https://img.etnews.com/photonews/1905/1191229_20190530142920_619_0001.jpg)
흡연과 무관한 환경에서도 폐 선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 성과는 비흡연자 폐암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관련 정밀치료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신성철)은 주영석 의과학대학원 교수팀이 김영태 서울대 의과대 교수팀과 함께 폐암을 일으키는 융합유전자 유전체 돌연변이 생성원리를 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하버드 의과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립암센터도 연구에 참여했다.
연구팀은 138개 폐 선암 사례에서 찾아낸 전장 유전체 서열 데이터를 분석해 다양한 암세포 유전체 돌연변이를 찾아냈다. 특히 융합유전자를 생성하는 구조 변이 특성을 집중 규명했다. 융합유전자는 흡연과 무관한 폐암 직접 원인이다.
이 결과로 70% 이상 융합유전자가 복잡구조 돌연변이로 생성되는 것을 확인했다. 복잡구조 돌연변이는 DNA가 많은 조각으로 부서졌다가 재조합 된 돌연변이다.
또 이런 복잡구조 돌연변이가 폐암 진단 수십 년 전에 이미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0대 이전 유년기에도 폐암 발생 가능성이 생긴다는 것이다.
주영석 교수는 “폐암을 발생시키는 첫 돌연변이 양상을 규명했다”며 “정상 폐 세포에서 흡연과 무관하게 복잡 구조변이를 일으키는 분자기전 이해가 다음 연구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