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항암 치료트렌드는 '선행항암치료와 바이오마커'다.
대한항암요법연구회는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주목할 만한 임상결과를 공유해 향후 국내 임상이 발전시켜야할 방향성을 논의했다.
선행항암치료는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이뤄진다. 다학제적 접근은 외과, 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등 진단·치료 전문가가 함께 모여 치료법을 결정하는 통합 접근 방식이다. 다학제적 암치료가 활발해지면서 수술 후 미세 전이 암을 제거하기 위해 쓰던 보조 항암치료를 수술 전에 도입한다. 수술 전 항암치료로 기존 치료 위험성을 줄이고 환자 내성을 줄인다.
이윤규 강북삼성병원 종양혈액내과 교수는 “직장암, 유방암과 같은 암에서는 선행항암치료 이후 수술을 하고 보조항암치료를 받는 항암 치료 순서가 이미 진료 현장에서 정립됐다”면서 “3기, 4기 비인두염 환자에 대한 선행항암치료를 했을 때 기존 치료에 비해 재발 억제와 관련된 유의미성을 발견해 향후 비인두염 표준치료가 동시항암치료에서 선행항암치료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의료진은 바이오마커에 주목한다. 인체에서 유래한 모든 검체를 뜻하는 바이오마커는 암 환자에게서 혈액, 유전체, 조직 세포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폐암, 췌장암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 반응을 예측하고 수술 예후 모니터링 등 바이오마커 활용 경로를 넓힌다. 대표 난치암으로 알려진 전이성 췌장암 바이오마커를 찾아 표적 치료를 시행한 임상 결과를 발표해 향후 치료 가능성을 높인다.
바이오마커 전략을 사용한 임상연구는 아직까지 폐암이나 유방암 등 일부 항암 치료 요법에 한정된다. 여전히 미충족 수요가 큰 전이암이나 전립선 암 분야에 맞는 바이오 마커 발굴과 이를 토대로 한 추적 임상 연구가 필요하다.
김미소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바이오마커가 항상 효과 있는 것은 아니지만 3만 여명을 대상으로 한 바이오마커 기반 임상시험에서 약제 반응률이 다섯 배 가까이 올라가고 전체 생존 기간이 두 배가량 증가하는 결과 보였다”면서 “아직까지 신장암, 전립선암과 같은 분야에서 허가된 바이오마커 없고 초기단계인 만큼 향후 유의미한 자원을 지속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진형 대한항암요법연구회 회장은 “이번 ASCO에 국내 연구진이 참여한 우수 연구 성과가 약 180건 이상 발표됐다”며 “대항항암요법연구회는 국내 임상연구 역량을 알리기 위해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과 심포지엄을 공동개최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다교기자 dk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