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DMZ 깜짝 회동에 '역사적 걸음'...한국당 “CVID 돼야 진전 평가 받을 것”

여야는 30일 남북미 정상이 판문점에서 '깜짝' 회동을 한 것과 관련해 '역사적 걸음'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다만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대화를 위한 대화보단 CIVD를 위한 대화가 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여야, DMZ 깜짝 회동에 '역사적 걸음'...한국당 “CVID 돼야 진전 평가 받을 것”

더불어민주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범여권은 이날 잇따라 논평을 내고 '평화와 협력'으로 가는 전환점이 됐다고 평가했다.

홍익표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북미 정상이 66년 전 정전 협정 이후 처음 판문점에서 만났다”면서 “분단과 대결의 상징에서 평화와 협력의 상징으로 바뀌는 전환점이 되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사실상 남북미 3자 정상회담이었다며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체제가 되돌릴 수 없는 단계로 진입할 것으로 기대했다.

민주평화당은 '획기적인 진전'이라고 했다. 박주현 수석대변인은 “정전 협정 당사자라 할 수 있는 남북미가 한자리에 모여 북미 관계 정상화를 위한 큰 걸음을 내딛었다”고 했다. 다만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지 않으려면 정부가 모든 외교·통일 역량을 동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의당은 '새로운 이정표'라고 했다. 정호진 대변인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진척시키기 위해 또다시 큰 걸음을 내디딘 것”이라며 “오늘 만남을 통해 항구적 한반도 평화를 향한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는 시작이 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바른미래당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최도자 수석대변인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의지를 확인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DMZ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났다는 사실만으로도 역사적인 의미가 크며 비핵화에 다가섰다고 평가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당은 '진전'이라는 평가를 위해선 '핵 쳬기'가 동반돼야 한다고 했다. 전희경 대변인은 “한미정상회담 목표도, 미북 간 만남과 대화 목표도 오로지 북한의 완전한 핵 폐기에 있어야 하고, 진전이라는 평가가 나오려면 바로 핵 폐기에 있어서 진전이 이뤄져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만남을 위한 만남, 대화를 위한 대화로는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번 DMZ 회동이 형식에 그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안영국 정치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