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은 제1 금융권인 시중은행과 비교할 때 규모도 작고, 돈도 많이 투자할 수 없습니다. 저축은행은 나름의 방식을 세워야 합니다. 이런 걸 고려하지 않으면 나중에 지지부진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차근차근 핀테크 전략을 추진하려 합니다.”
이은화 SBI저축은행 핀테크TFT 이사는 SBI저축은행의 디지털 혁신 전략에 대해서 이같이 밝혔다. 이은화 이사는 액센추어, 나이스평가정보, P2P금융회사인 에잇퍼센트 등을 거쳐 지난해 6월 SBI저축은행 핀테크TFT 이사로 자리 잡았다. 여기서는 디지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고객 접점과 운영·업무 효율화 제고에 주력하고 있다.
이 이사가 합류하면서 SBI저축은행의 디지털 경쟁력도 한층 강화됐다는 평이다. 실제 지난달에는 대출한도와 금리 조회가 챗봇에서 가능한 '바빌론 챗봇'을 선보였다. 바빌론 챗봇은 SBI저축은행 상품 바빌론에 적용된 것으로 가입은 물론 대출 한도와 금리 조회까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 금융사들의 챗봇 서비스가 단순 상담만을 처리했다면, 실제 제품에 적용하면서 이용 범위를 확장한 것이다. 특히 여기에는 머신러닝 등 인공지능(AI) 기반 기술과 언어 기반 자연어처리 기술이 접목됐다는 설명이다.
이 이사는 “모든 핀테크, 디지털에서 마찬가지로 우리가 만드는 챗봇 역시 사용자 니즈를 중점 고려해 기획했다”면서 “바빌론 챗봇은 단순 상담이 아닌 직접 비즈니스인 상품에 챗봇을 적용한 사례로 일반 상담 대비 높은 수준의 응답 정확도를 자랑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이사는 챗봇과 같은 새로운 기술 확보도 중요한 과제지만, 저축은행 특성에 맞는 디지털 전략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규모와 자금력에 제한적인 저축은행의 경우 효율화를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런 일환으로 SBI저축은행은 지난달부터 로보틱프로세스자동화(RPA) 구축 작업에 들어갔다. 직원들이 하던 업무에 RPA를 적용, 효율성이 얼마나 높아졌는지 내부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적용업무는 사업자휴폐업조회, 주소보정, 신용회복신청, 개인회생등록 등이다.
이 이사는 “RPA 구축 작업은 올해 시범 테스트를 거쳐 내년 상반기 1차, 이후 2차까지 진행할 것”이라면서 “RPA 구축은 디지털 워크플레이스를 준비하는 첫 단추이며, 단순 비용절감이 아닌 궁극적으로 로봇과 AI, 사람이 함께 일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장기적인 목표”라고 전했다.
그는 핀테크 혁신에 대한 자신의 소신도 밝혔다. 단순 서두르는 것이 아니라, 저축은행에 맞는 현명한 디지털화가 목표라는 설명이다.
그는 “저축은행은 규모가 크지도 않고, 자금이 많지도 않다. 따라서 단순 기술을 도입하거나 일회성 프로젝트는 맞지 않는 전략이다”면서 “우린 패스트 팔로어로서 현명하게 디지털 혁신에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
-
박윤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