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908/1212730_20190806150631_214_0001.jpg)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무역전쟁에 이어 환율전쟁으로 비화됐다. '1달러=7위안' 마지노선이 깨지자 미국이 25년 만에 환율조작국 카드를 꺼내들었다.
5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는 마침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 권한으로 중국이 환율 조작국이라는 것을 오늘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중국이 자국 통화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했다”며 “중국이 외환시장에서 지속적이고 큰 규모의 개입을 통해 통화가치 절하를 용이하게 해온 오랜 역사가 있다”고 말했다.
미국 무역법상 자국을 상대로 현저한 무역흑자와 상당한 경상수지 흑자 등을 기록한 국가를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앞서 지난 5월 상반기 환율 보고서에서도 중국을 '관찰대상국'으로 공표한 바 있다.
앞으로 양자간 협상이나 국제통화기금(IMF)을 통해 상황을 시정해야한다. 해결이 되지 않을 경우 중국에 투자한 미국 기업에 대한 자금 조달을 금지하거나 미국 정부 조달 계약에서 배제하게 된다.
미·중 무역분쟁이 지속된 데다 환율 시장의 심리적 마지노선까지 깨진 데 따른 조치다.
전날 홍콩과 중국 외환시장에서 처음으로 달러당 7위안이 넘는 위안화 약세가 나타났다.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돌파하는 '포치(砲七)' 현상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5월 이후 11년 만이다. 중국 인민은행이 기준환율을 달러당 6.9683위안으로 고시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내달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하자 중국 정부가 맞불을 놓은 것이다. 사실상 미·중 무역분쟁이 환율 전쟁으로 옮겨 붙었다.
환율조작국 지정에 주요국 증시가 출렁였다. 미국 나스닥지수가 3.47% 급락했고, 우리나라 코스피 역시 2.6% 넘게 하락했다. 전날 '블랙먼데이'에 이어 환율조작국 쇼크까지 겹치며 코스피가 한때 1900선마저 붕괴됐다.
이에 한국은행은 외환시장에의 구두 개입을 시사했다. 이주열 총재는 “시중 유동성을 여유롭게 관리하는 한편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콜금리와 연관 있는 지급준비금 시장을 여유 있게 관리하면서 필요 시 환매조건부(RP)를 매입하겠다는 의미다.
기획재정부는 시장 불안을 잠재우는 데 나섰다. 방기선 기재부 차관보는 “우리경제의 대외건전성이 과거에 비해 크게 개선됐고 경제 기초체력에 대한 대외신뢰가 여전한 만큼, 관련 상황을 차분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시장에서는 환율조작국 이슈가 바로 수출 타격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효진 SK증권 연구원은 “한국 증시 및 글로벌 증시 안정을 위해서는 위안화 강세전환이 미·중 무역분쟁이 아니라 실제인지 확인돼야한다”며 “당분간 하방압력이 강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지만 당장의 수출 급락 및 경기침체와는 구분해서 봐야한다”고 평가했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