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판매되는 취미용 드론이 제품에 따라 비행시간은 최대 5.2배, 충전시간은 10.3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쿼드콥터(프로펠러가 4개인 형태) 드론 10개 브랜드, 13개 제품을 대상으로 정지비행 성능, 배터리 내구성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를 19일 공개했다.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시킨 후 최장 비행시간을 측정한 결과 패럿(모델명 아나피) 제품이 25.8분으로 가장 길었고, JJRC(H64) 제품이 5분으로 가장 짧아 제품별 최대 5.2배 차이가 났다.
배터리를 완전히 방전시킨 후 충전 완료까지 필요한 시간을 측정한 결과 패럿(맘보FPV) 제품이 27분으로 가장 짧았다. 반면에 시마(X8PRO) 제품이 277분으로 가장 길어 제품별 최대 10.3배 차이가 있었다.
소비자원은 “드론은 비행시간이 짧아 배터리를 자주 충전해야하기 때문에 충전시간이 짧을수록 사용에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낙하, 고온·저온, 습도 시험 후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한 결과 드로젠(로빗100F) 제품은 기준시험(습도)을 충족하지 못했다. 자이로(엑스플로러V) 제품은 실사용 확인시험(1m 낙하)에서 기체 일부(랜딩기어)가 파손됐다. 13개 모든 제품이 안전성에는 이상이 없었지만 JRC(H64) 제품은 전파법에 따른 의무 표시사항을 누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업체는 누락 표시사항을 보완할 계획이라고 소비자원에 밝혔다.
정지비행(조종기를 조작하지 않을 때 드론이 스스로 고도·수평을 유지하며 제자리에서 비행하는 기능) 성능은 DJI(매빅에어), 제로텍(도비), 패럿(아나피), 시마(Z3), 패럿(맘보FPV) 5개 제품이 우수했다. 카메라가 장착된 9개 제품을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영상품질은 DJI(매빅에어), 자이로(엑스플로러V), 패럿(아나피) 3개 제품이 우수했다.
유선일 경제정책 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