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 가전제품 환급제도 시행에 제조사와 유통사는 환영하는 반응이다. 소비 진작 효과를 낼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다. 정부에서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고 현실에 맞게 제도를 운영해야 정책 효과가 극대화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정책에 기대감을 숨기지 않고 있다. 2016년 당시 정부가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제도를 시행하면서 가전제조사와 유통사 실적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환급정책으로 소비자는 추가 할인혜택을, 업계는 가전 소비를 끌어올리는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이번에도 정책 시행과 함께 가전 판매고가 올라갈 것으로 예상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여름철 판매 실적이 악화된 상황에서 환급제도 시행은 고객을 매장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강력한 요인이 될 것”이라면서 “그동안 제품 구매를 망설이던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의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유통사에서는 복지할인 대상이 누구인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맞춤형 마케팅이 어렵다”면서 “자칫 일반 소비자도 환급대상이라는 오해를 사 클레임이 들어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제조사 고위 관계자는 “제도 시행 시점이 올해 여름 대목을 넘긴 점과 첫 해 한정된 소비자만 적용된다는 점은 아쉽지만, 환급제도가 정례화 된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품목별로 고효율 등급 기준을 유연하게 설정한 점도 높게 평가한다”면서도 “예산이 2016년보다 턱없이 부족하다. 내년 예산은 획기적으로 키워야 산업계 전반에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고 답했다.
에어컨, 세탁기 사례처럼 품목 특성에 따라 제도를 유연하게 설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번 제도에서 일반 세탁기는 2등급, 유선청소기와 에어컨(그 외)은 3등급까지 대상이 된다. 일률적으로 1등급 잣대를 적용한 것이 아니라 시장에 출시된 1등급 비중을 고려한 결정이다. 한 예로 에어컨은 지난해 10월 에너지소비효율등급 기준이 크게 강화된 뒤 시장에서 1등급 제품이 사라져 논란이 됐다.
한 가전제조사 최고경영자는 “에너지 소비량이 적은 품목까지 일괄적으로 1등급을 적용하는 것은 현실에 맞지 않다. 소비량이 미미하기 때문에 1등급·2등급 차이가 크지 않다”면서 “1등급을 맞추기 위해서는 제품 성능을 떨어뜨리거나 단가를 올릴 수밖에 없다. 결국 소비자에게 피해가 돌아가기 전에 제도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