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미래 핵심 ICT 발전을 위해선 4차 산업혁명 중심 정책 변화와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주영섭 한국공학한림원 제조혁신특별위원장은 “오랜 기간 우리나라 산업은 패스트팔로어 전략으로 최신 기술과 제품을 빠르게 따라 잡고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높여 세계 시장에서 우위를 점했다”면서 “중국 부상으로 국내 원가 경쟁력이 떨어지고 혁신 노력도 미흡하면서 패스트팔로어 전략 성공의 덫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정책 변화와 육성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주최한 세미나에서 김종기 산업연구원 실장은 “현재 한국 ICT 산업은 5G 이외에 눈에 띄는 신산업이 부재하고 세계 시장 포화로 성장이 한계에 도달했다”면서 “PC, 휴대폰, TV, 액정표시장치(LCD) 분야에서 가성비로 부상하는 중국, 보호주의 무역 확산 등 위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은 ICT 기술 융합으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가 출현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면서 “정부에서는 4차 산업혁명 인프라와 제도 정비에 힘쓰고 다부처 협력으로 패키지형 종합 지원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펴낸 '주요국 정책으로 살펴본 우리나라 4차 산업혁명 정책 수립 방향' 보고서는 “제품과 서비스가 융합한 솔루션 창출로 주도권이 재편되는 세계 시장에서 국내 산업이 최종 솔루션 공급자를 할 수 있도록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융합한 산업 정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단기 정책보다는 긴 호흡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로 변화하는 산업 구조에 미리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 근간은 데이터인데 한국에서는 개인정보보호 이슈 때문에 데이터를 활용하고 사업화 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인재 양성과 생태계 조성도 핵심 문제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는 '혁신성장의 새로운 기회, 4차산업혁명과 ICT' 보고서에서 “4차 산업혁명은 ICT 등 기술 혁명에 기반한 혁신 범위 확장과 방식 변화로 새로운 성장 방식으로 전환을 이끄는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경제·사회 혁신을 뒷받침하는 기술과 인재와 같은 혁신 자본을 축적하고 중소 벤처 기업의 성장 동력화를 위해 생태계 조성에 집중해야한다”고 분석했다.
'해외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인재양성 정책 동향' 보고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고급 인재 양성을 위해 거점 대학 중심의 선택과 집중 전략'이 요구 된다고 전망했다.
생산 현장과 교육 현장 간 미스매칭을 최소화하고 인재의 산업현장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국내외 현장 맞춤형 교육을 확대해야한다는 주장이다.
보고서는 글로벌 선진 대학, 연구기관과 협력 관계를 높여 인재, 연구자 교류 확대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리드할 인재 양성 방안 중 하나로 제시했다.
포스코 경영연구원도 이슈 리포트에서 “우리 기업도 디지털 인재 수요예측과 육성·확보 위한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박소라기자 sr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