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카드업계, 영세 가맹점에 4년간 2800억원 지원키로

사진=이동근기자
사진=이동근기자

금융 당국과 카드업계가 영세 가맹점 카드결제 인프라 개선을 위해 약 2800억원을 지원한다. 서울과 경기 지역 영세 온라인 사업자는 최대 1억원의 사업자금을 연 2%로 빌릴 수 있게 된다. 12월부터는 영세·중소가맹점 대상으로 근거리무선통신(NFC), QR코드 단말기가 보급된다.

금융위원회는 7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신용카드사와 신용카드사회공헌재단, 서울·경기 신용보증재단과 '영세 온라인사업자 특별보증 지원사업을 위한 협약식'을 개최했다.

협약식에는 은성수 금융위원장, 김주현 여신금융협회장(신용카드사회공헌재단 이사장), 서울·경기 신용보증재단 이사장, 6개 카드사 대표, NH농협 경기지역본부장, 청년 온라인 창업자 등이 참석했다.

은성수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온라인 사업자들이 PG사를 통해 결제대금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최장 15일이 소요되면서 유동성 애로를 겪고 있으며,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다”면서 “이번 지원 사업은 영세·중소 가맹점의 안정적인 경영 기반 조성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금융 당국은 영세 온라인가맹점의 유동성 문제 해소를 위해 2% 특별보증 대출을 지원한다.

신용카드사회공헌재단이 서울신용보증재단·경기신용보증재단에 특별 출연한 200억원을 시중은행 대출(2400억원) 보증 재원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대출금액은 기 보증금액을 합쳐 5년 내 최대 1억원이다. 2.5% 안팎의 금리가 적용된다.

지원 대상은 서울·경기 영세 온라인사업자 가운데 △전자결제대행(PG)사를 이용하는 통신판매업자로 여전업감독 규정에 따라 우대수수료율을 적용받는 사업자 △업력 3개월 이상 △대표자 개인신용등급 8등급 이상 사업자다.

윤창호 금융위 금융산업국장은 “PG사를 이용하는 온라인 사업자가 전국 117만곳 가운데 약 60%인 70만 사업자가 서울·경기 지역에 있다”면서 “향후 실적이나 추이 등을 검토, 대상 지역과 사업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프라인 영세·중소가맹점 사업자를 위한 신결제 인프라 지원 사업도 진행한다. NFC와 QR 관련 단말기 22만4000개, 키오스크 약 1800개 등이 영세·중소가맹점에 지원된다. 11월 중 동반성장위원회를 통해 신청 접수와 지원 대상자 선정이 이뤄지고, 12월부터 보급한다.

이번 영세가맹점 지원 계획에 필요한 자금은 이보다 앞서 카드업계가 조성한 집적회로(IC) 단말기 전환 기금을 활용한다. 한편 카드업계는 지난 2014년에 발생한 신용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태 이후 보안성이 높은 IC 단말기 전환을 확대하기 위해 1000억원의 지원금을 조성했다. 그러나 영세가맹점 폐업 등 변동성이 고려되지 않아 전체 가운데 약 24%만 사용하고 760억원이 남아 있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