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신기술]옥외 냉각장치 이용 미세먼지 저감장치 기술

미세먼지 저감용 냉각타워 작동 모습. 건기연 제공
미세먼지 저감용 냉각타워 작동 모습. 건기연 제공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한승헌)이 개발한 '옥외 냉각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기술은 냉각탑과 같은 옥외 냉각장치를 이용해 대기 중 미세먼지를 흡입 후 냉각수로 제거하는 기술이다.

별도 저감 설비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 설비를 개조해 쓸 수 있어 효율성과 경제성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다.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시기가 주로 봄철임에 착안해 본격적인 냉방 전 시기에 기존 설비 활용도를 높일 수도 있다.

공기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한 옥외 본체, 공기와 미세먼지를 흡입해 배출하는 흡기팬, 냉각수 하측 분사부, 열교환부, 미세먼지 필터부, 냉각수 순환 유닛 등 기존 냉각장치 구조에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를 추가하는 형태다. 물로 미세먼지를 흡착하고 정화하는 식이다. 별도로 미세먼지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수돗물 수압을 이용해 외부에서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다.

기술준비수준(TRL)은 5~6단계다. 현재 건기연 내 옥상 냉각타워에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기술이전을 원하는 기업이 있다면 1~2년 검증 시험을 거쳐 바로 상용화가 가능할 전망이다.

장대희 건기연 박사는 “기존 도심 미세먼지 정화시설은 많은 예산을 들여 설치해야 하는 반면에 이 기술은 이미 시공된 시설을 활용할 수 있다”며 “매우 적은 비용으로 미세먼지 제어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