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열악한 인프라가 해외 인공지능(AI) 전문가가 한국에서 일하고 싶지 않은 주요 요인 중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공지능학회와 한국블록체인학회가 15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개최한 'AI 대학원 설명회'에서 정송 KAIST AI대학원장은 “구글 등 해외 글로벌 기업의 AI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한국에 오기를 꺼리는 가장 큰 부분은 열악한 인프라였다”고 설명했다.
정송 원장은 '연봉'보다 해외에 비해 열악한 AI연구를 위한 '인프라'때문에 국내에서 일하고 싶지 않다고 답한 사람이 대부분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구글 등 글로벌 기업의 한국인 AI전문가에게 일일이 메일을 보내 설문조사를 시행했다고 설명했다.
정 원장은 “그들은 한국에 가게 되면 연봉은 아예 포기하기 때문에 비교조차 하지 않는다”며 “구글에서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성능의 몇배가 넘는 TPU로 연구를 하는데, 한국에 오면 이런 인프라를 아예 사용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고 전했다. TPU는 구글이 자체 개발한 AI 전문 칩으로, 구글의 AI 기계학습 엔진인 텐서 플로우에 최적화돼 있다. 정 원장은 “정부가 AI 인재를 육성을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 지원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종원 GIST AI대학원 총괄책임 교수는 “광주에서는 데이터센터를 준비 중이며, 완성되면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내에서 연구개발하는 사람들이 데이터센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광주는 데이터 사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AI 중심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날 국내 AI인력난이 2, 3년만 지나면 해결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이성환 고려대 AI대학원 주임교수는 “시간이 인력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세상의 일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서 이뤄지기 때문에 2년만 지나면 지금보다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5개 AI대학원을 선정했다. 이들 대학 중 3개 대학은 문을 열었으며, 2개 대학은 내년 초 학생을 선발한다. 이외에도 대학들이 자체적으로 AI대학원을 개설하고 있는 중이다.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