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리스크 요인 중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국내 금융 시스템 리스크 1위는 '미중 무역분쟁'](https://img.etnews.com/photonews/1912/1250993_20191209154503_027_0001.jpg)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19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92명의 응답자에게 5개 리스크 요인을 복수 지정하도록 한 결과, 응답 빈도순으로 '미·중 무역분쟁'이 74%,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이 52%를 차지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가계부채'가 각각 40%로 뒤를 이었다.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39%를 나타냈다.
응답자의 39%는 미·중 무역분쟁을 1순위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이어 국내 경기 둔화 지속(21%), 글로벌 경기 둔화(9%),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둔화(5%) 순이었다.
지난 5월 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미·중 무역분쟁,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이 계속해서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주목 받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 둔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이 새로운 요인으로 추가됐다. 미·중 무역분쟁 응답 비중은 67%에서 74%로 상승한 반면에 국내 경기둔화 지속은 66%에서 52%로 하락했다.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응답비중은 모두 44%에서 37%로 떨어져 이번 조사의 상위 5개 요인에서는 제외됐다.
응답자들은 미·중 무역분쟁, 국내 경기 둔화 지속, 글로벌 경기 둔화는 대체로 1년 이내의 단기 리스크 요인으로 분류했다.
가계부채,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1~3년 이내의 중기 시계에 현재화할 수 있는 리스크라고 응답했다.
국내 경기 둔화 지속,미·중 무역분쟁은 발생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이자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교적 큰 리스크로 평가했다. 응답자들은 두 요인이 빠른 시간 내 금융 시스템에 현저한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1년 이내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실현될 가능성은 지난 5월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충격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이 4%에서 13%로 상승했으나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52%에서 53%로 높아졌다.
3년 이내의 중기 시계에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응답도 지난 서베이 시점보다 떨어졌다. '높다'고 응답한 비율이 34%에서 26%로 떨어졌다. 다만 '낮다'는 응답이 24%에서 28%로 소폭 올랐다.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도 지난 조사 결과보다 개선됐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이 높다는 응답 비율은 55%로 지난 5월 50%에서 상승했다. '보통'과 '낮다'는 응답 비율은 각각 41%, 4%로 떨어졌다.
이번 시스템리스크 조사는 지난달 13일부터 29일까지 79개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및 주요 금융전문가 92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