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하반기 인기상품]마케팅우수-한국간편결제진흥원/간편결제 인프라/제로페이

[2019 하반기 인기상품]마케팅우수-한국간편결제진흥원/간편결제 인프라/제로페이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제로페이'는 별도 결제 앱 설치가 필요 없는 간편결제 인프라다. 평소 사용하는 은행 앱이나 페이 앱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소상공인 결제 수수료 경감을 위해 정부와 금융회사, 결제 사업자가 힘을 모았다. 소상공인 전년도 매출액에 따라 가맹점 수수료를 차등 적용한다. 소상공인이 아닌 모든 일반 가맹점에서 이용 가능하며 일반 가맹점 역시 신용카드보다 낮은 저렴한 수수료율을 적용받을 수 있다. 제로페이 웹사이트와 앱을 이용한 환불·취소, QR코드 관리, 직원관리 등 가맹점 관리도 간편하다.

소비자에 공공시설 할인과 소득공제율 30% 혜택을 제공한다. 모바일 상품권 6~10% 할인, 서울시 따릉이 50% 할인, 부산시 7% 포인트 적립, 서울 공공시설 이용료 30%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을 지속 확장하고 있다.

제로페이는 온누리모바일상품권, 지역화폐 등 이용도 가능하다. 지류상품권 없이 모바일로 구입·결제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용자는 전통시장에서 물품 구매 시 온누리모바일상품권 가맹점 QR코드를 촬영하여 제로페이로 결제하면 된다.

현재 시범운영 중인 기업 제로페이는 공공기관, 정부, 지방 자치단체, 일반기업 등에 제공 중이다. 업무추진비나 일반 공금 등을 법인카드 없이 제로페이로 결제할 수 있다.

현재 제로페이가 가능한 은행앱은 15개다. △리브(국민은행) △I-ONE뱅크(기업은행) △NH앱캐시(농협은행) △올원뱅크(농협은행) △신한 쏠(신한은행) △우리WON뱅킹(우리은행) △케이뱅크(케이뱅크) △투유뱅크(경남은행) △광주은행(광주은행) △콕뱅크(농협중앙회) △IM샵(대구은행) △썸뱅크(부산은행) △MG상상뱅크(새마을금고) △수협파트너뱅크(SH수협은행, 수협중앙회) △포스트페이(우정사업본부) △뉴스마트뱅킹(전북은행) 등이 앱 내 제로페이를 지원한다.

11개 페이엡에서도 가능하다. △네이버페이 △체크페이 △SSGPAY △페이코 △Lpay(롯데멤버스) △하나멤버스 △머니트리 △티머니 △핫플레이스 △캐시비 등 앱으로 제로페이를 이용할 수 있다.

윤완수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이사장은 “제로페이는 4차 산업 혁명 환경에 맞는 핀테크 산업 성장 토양”이라며 “핀테크 산업은 물론 소상공인, 소비자 모두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