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도 새해부터 AI 투자 본격화…올해보다 5배 늘어난 530억원 이상 투입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정부 인공지능(AI) 국가전략에 발맞춰 새해부터 AI 분야 투자를 본격화한다. 지자체는 그동안 정부 매칭 사업을 제외하고는 AI 관련 포럼을 열거나 사업 비전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용역 사업 정도만 추진했다. 하지만 새해부터 자체 사업을 본격화하면서 지자체 예산만 총 500억원 이상을 투입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본지가 전국 광역지자체의 내년도 예산계획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와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 17개 광역지자체는 AI 산업 육성 및 관련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해 내년에 총 534억원 이상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들 지자체의 올해 AI 관련 예산은 총 100억원에 못 미쳤다.

지자체가 내년부터 추진하는 AI 사업은 크게 인프라 구축과 연구개발(R&D) 및 전문 인력 양성 사업으로 구분된다. 지능형 지방정부로 전환한다는 방침으로 AI를 활용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또 이를 기반으로 지역의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체질 개선도 추진한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는 경기도가 추진하는 'AI 기반 지역경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과 광주시 'AI중심 산업융합집적단지 조성 사업'을 꼽을 수 있다. 경기도는 이를 위해 34억원 예산을 편성했고, 광주시는 200억원을 투입한다. 세종시는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에 1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밖에 대구시와 대전시는 빅데이터 활용센터 활성화 및 AI밸리 조성 등에 각각 5억여원과 15억원가량을 투자한다.

지역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R&D 사업도 전개한다. 서울시와 경기도 등은 AI 기반 하수관로 누수 및 균열 탐지시스템 개발 및 실증을 위한 연구개발 등을 추진한다. 세종시는 AI 기반 자율주행차 상용화 거점 구현을 위한 R&D에 박차를 가한다.

AI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사업도 핵심 사업 가운데 하나다. 대구시는 '대구혁신 인재양성 프로젝트', 광주시는 'AI실무인재 양성 혁신교육'을 실시한다. 또 부산시는 AI 선순환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지역대학 및 공공기관과 협력해 AI우수인재 양성 사업을 전개한다.

이 같은 추세와 관련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올해까지는 AI산업 육성을 위한 모색 단계였다면 새해부터는 실제 육성사업을 본격 전개하는 해가 될 것”이라면서 “정부의 AI강국 실현을 위한 국가전략 로드맵이 나온 만큼 이와 연계해 지역산업을 AI 기반으로 전환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전국부 공동취재


전국 광역지자체 주요 AI 관련 사업 및 예산

지자체도 새해부터 AI 투자 본격화…올해보다 5배 늘어난 530억원 이상 투입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