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사이트]신소영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노동이사 "공공기관 CSR 책무 다할것"

신소영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노동이사
신소영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노동이사

“공공기관 사회공헌(CSR) 책무가 있습니다. 노동이사로서 경영진과 근로자가 협력 상생할 수 있도록 윤활유 역할을 하겠습니다.”

신소영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노동이사는 “현실과 제도가 아직 괴리감이 있다”면서 “조직 구성원 목소리를 전달하는 소통창구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다른 이사들과 달리 기관 현황을 자세히 파악하고 있는 그는 근로자 대표로서 조직원들이 필요한 것, 기관이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직언하겠다는 생각이다.

연구개발(R&D) 분야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축적한 지식을 기관이 산업진흥을 위해 펼치는 정책과 연결하려는 계획이다.

그는 “R&D 분야에서 어떤 것이 필요한지, 앞으로 뭘 해야 하는지, 경기도만이 할 수 있는 것은 뭔지를 자세히 들여다보겠다”면서 “특히 인공지능(AI)이 경기도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지원 정책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각종 제약으로 예산 지원 등 역차별을 받는다. 조직원 소통창구뿐만 아니라 경기도에 산재한 기업들을 보듬으면 시너지가 엄청날 것이라는 복안이다.

그는 “과학기술, 공유경제 정책연구 등이 주요 업무였다”면서 “공유모빌리티 등 사회적으로 이슈가 많은 분야에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새로운 서비스가 나오는데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향후 자율주행차 등 미래를 내다봐야 하는데, 현재에만 머물러 있는 제도를 안타까워했다.

임직원들을 위해서는 고용안정을 위해 인건비를 출연금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지난해부터 일부 인력 인건비가 사업비로 충당하도록 바뀌었기 때문이다. 직급이 낮은 직원들 요구사항과 애로사항이 개선 되도록 직무별, 분야별 위원회도 만든다.

노동이사제는 이재명 경기도지사 공약사항으로 노동자대표가 이사회에서 의결권을 행사는 공공기관 경영 참여 제도다. 경기도는 2019년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서울시는 2016년부터 시작해 협의회를 운영,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그는 “도내 12곳 노동이사 및 광역시 협의회와 협력해 운영 노하우를 키우겠다”면서 “스마트 워크 시대에 걸맞은 행복한 직장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노동이사가 되면서 노조도 탈퇴했다. 경영에 참여하는 권한을 행사하기 위해서다. 그는 “활동에 대해서도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많은 분들이 노조 대표와 노동이사를 혼동하는데 이에 대한 교육도 필요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신소영 노동이사 임기는 2022년 1월 12일까지다. 다음달 첫 이사회에 참석해 노동자를 대표하는 경영진으로서 소임을 다하겠다는 포부다.

김정희기자 jha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