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유튜브가 정책 홍보수단으로 떠오르면서 최근 각 부처가 유튜브 구독자수를 끌어올리기 위해 분주하다. 인기 출연자 섭외는 물론 스튜디오를 설치하면서 홍보업무에 신경을 기울이고 있다.
11일 정부부처 대변인실 등에 따르면 국정홍보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달 각 부처에 'KPI(핵심성과지표) 목표 설정 기준 안내'라는 공문을 보냈다.
공문에는 유튜브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개설한 홍보 채널 구독자, 조회 수 등을 양적으로 측정해 평가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특히 디지털소통팀이 설치된 30개 부처는 유튜브 구독자 1만명, 미설치된 13개 부처에는 5000명까지 구독자를 끌어올릴 것을 권고했다.
부처들이 3명의 민간 전문가를 채용해 디지털소통팀을 꾸리고 동영상, 웹툰 등 콘텐츠를 기획·제작하고 있지만 정부 유튜브 영상 조회수는 수천건에 그치는 경우가 대다수다.
따라서 일부 부처는 홍보를 위해 상당한 인력과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인기 캐릭터인 '펭수'를 잡기 위한 쟁탈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날 기준 보건복지부가 펭수와 협업해 제작한 후 업로드한 영상 조회수가 64만회을 돌파했다. 구독자(3만7300명)의 17배를 뛰어넘고 있다.
해양수산부도 인기 방송인 장성규씨와 제작한 영상이 조회수 15만회를 돌파하기도 했다.
구독자가 적은 부처들은 유튜브를 통한 홍보 중요성이 커지다 보니 사람들을 끌어 모을 방법이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
특히 조사업무를 담당하면서 베일에 쌓여있던 공정거래위원회는 부처 내 스튜디오를 설치하는 등 정책홍보에 전력할 계획이다.
공정위는 '경제 검찰'이라는 꼬리표를 달며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다. 그러나 전문적인 공정거래 용어, 조사자료 등을 보도자료에만 의지해서 이해를 구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국민과 밀접한 소통채널을 강구하기 위한 조처”라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도 공무원 일상생활을 담는 '기획재정부 브이로그(VLOG)' 영상을 게시하는 등 온라인 소통 채널 구축하고 있다.
한편 문체부는 오는 17일을 기한으로 각 부처로부터 홍보 목표와 계획 등을 취합한다. 청와대는 '정책 홍보 실적'을 매년 각 부처 업무 평가 5대 과제로 반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부처가 각종 콘텐츠를 생산해 내지만 주목받지 못하는 이유로 관료적 의사결정 체계를 지목한다.
정부부처 홍보 담당자는 “정책을 좀 더 쉽게 소개하려고 하다보면 법정 용어를 쓰는 것부터 한계에 봉착한다”고 말했다.
민간 유튜브 제작 관계자는 “유튜브는 공감을 끌어내는 대중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면서 “부처가 젊고 유연한 의사결정 체계와 인력에 대한 투자가 이뤄져야만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유재희기자 ryu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