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시선]코로나19 사태와 원격지 개발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코로나19 사태로 원격 근무, 원격 지원 등 '원격'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 '원격 의료'를 대표로 들 수 있다. 원격 의료는 이미 20년 전부터 등장한 개념이다. 유헬스, 스마트헬스 등 정권마다 용어가 바뀐 적은 있지만 대개 원격 의료로 통용된다. 최근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병원 내 2차 감염 방지 차원에서 '전화처방'을 원격 의료로 한시 적용하면서 원격 의료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의료계는 의료법 상 대면진료 원칙을 훼손한다며 반발하고 있지만 전화 통화를 넘어 영상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원격 진료까지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이미 미국, 중국 등 해외에서는 ICT를 활용한 원격 의료가 활발하다. 우리도 이번 일을 계기로 원격 진료 범위와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의료업계에 원격의료가 있다면 정보기술(IT)업계에는 '원격지 개발'이 오래된 이슈다. 원격지 개발은 IT 프로젝트 수행에서 발주처 사무실이 아니라 개발 IT 기업에서 수행하는 방법이다. 그동안 원격지 개발도 의료계 반발 못지않은 저항이 있었다. 공공, 기업 등 사업 발주자는 개발자가 발주자 근무지로 출퇴근하는 방식의 상주 업무 진행을 원한다. 개발자가 바로 옆 책상 또는 사무실에 있기 때문에 업무 전달이 빠르고 프로젝트 관리가 쉽다는 장점은 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이 같은 방식의 효율성이 별로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개발자 출퇴근 관리부터 별도의 공간 제공 등 부수 업무와 관리 문제가 생긴다. 업무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불필요한 시간과 과정을 늘린다.

이미 원격지 개발 성공 사례가 한둘 나오고 있다. 웅진은 비대면(언택트) IT 프로젝트 방식으로 국민렌탈에 렌털영업관리시스템 구축을 성공시켰다. 웅진은 직원을 국민렌탈에 파견하지 않고 사내에서 모든 것을 개발, 국민렌탈 시스템을 구축하고 원격 가동했다.

보통 원격지 개발은 보안에 취약하다고 생각한다. 구시대 발상이다. 발주처보다 IT 기업의 보안 수준이 더 높은 경우도 있고, 최근 클라우드 개발 환경이 구현되면서 기술로 보안 우려를 해소하는 수준이다. 웅진도 사내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망 분리를 적용하고 고객사 내부에 프로젝트 전용 서버를 두는 등 보안 걱정 없는 원격 개발을 구현했다.

민간은 점차 원격지 개발에 긍정 분위기지만 공공은 제대로 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민간보다 공공 부문에 원격지 개발이 빨리 도입돼야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주요 부처와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빠른 속도로 진행됐다. 공공 IT 프로젝트를 진행하려면 대부분 직원이 지방 공공 발주처로 이주해야 한다.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많게는 수십 명이 한꺼번에 지방에 파견되기도 한다. 그러나 지방 직원 파견에 따른 거주지 마련, 체류 비용 등은 프로젝트에 반영되지 않아 비용 부담은 결국 IT 기업이 떠맡게 된다. 이에 따라 IT 기업 상황은 어려워지고 프로젝트 품질은 낮아지는 문제가 야기된다. 발주처와 IT 기업 모두에 좋지 않은 상황을 만들 뿐이다.

정부도 이 같은 문제에 공감, 공공의 적극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법안을 마련했다. 현재 국회에 묶여 있는 소프트웨어(SW) 진흥법에 원격지 개발 활성화 관련 내용을 담았다. 코로나19 사태로 많은 기업뿐만 아니라 공공도 원격 근무를 체감하고, 원격 개발의 필요성도 공감했을 것이다. SW진흥법을 통과시켜서 공공 원격지 개발 도입에 힘을 실어 줘야 한다.

[ET시선]코로나19 사태와 원격지 개발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