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주요국은 어떻게 개인정보 비식별화하나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데이터 안전한 활용을 위해 '개인정보 비식별화 조치'가 중요하다. 우리나라도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시행 중이다. 개인정보를 비식별 조치해 이용 또는 제공하려는 사업자 등이 준수해야 하는 조치 기준을 △사전 검토 △비식별 조치 △적정성 평가 △사후 관리 등으로 단계별 제시한다. 이에 따라 '적정하게 비식별화 된 정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아닌 것으로 추정한다.

2016년부터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이 보급됐지만 이 역시 활용은 더디다. 한국데이터산업협회와 설문 결과 '개인정보에 비식별화 조치 가이드라인을 적용해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39% 정도였다.

이미 해외는 가명, 익명 등 정보별로 다양한 비식별화 조치를 시행 중이다.

일본은 2015년 개정한 개인정보보호법에 '익명가공정보' 개념을 도입했다. 익명가공정보는 개인정보에서 개인 식별성을 비가역적으로 제거한 정보라고 정의했지만 일본은 여전히 익명정보에서 개인이 재식별 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했다. 익명가공정보를 재식별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익명가공정보 취급 사업자는 재식별화를 막기 위한 일정한 안전관리조치를 취하도록 했다.

익명가공정보에는 식별자 비가역적 삭제·대체가 요구된다. 익명가공정보를 제공받는 제3자 입장에서 복원할 수 없도록 규칙성·가역성을 갖지 않아야 한다. 익명가공정보는 익명화된 정보보다는 가명화된 정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유럽연합(EU) 개인정보보호법제(GDPR)에서는 가명화와 익명화 개념을 제시한다. 가명화란 추가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더이상 특정 정보주체를 식별할 수 없는 방식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것이다. 추가 정보는 개인 식별에 이용될 수 없도록 분리 보관한다. 가명화된 정보는 개인정보로 취급되지만 공익을 위한 기록보존, 과학적·역사적 연구(사인의 영리목적 연구 포함) 또는 통계 목적 정보로 활용이 가능하다.

익명화는 현행 기술 개인 식별 수단으로 원래 개인정보를 알아 볼 수 없는 상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익명화된 정보는 특정 개인과 연관 지을 수 없거나 개인 식별 가능성이 완전히 제거된 정보로 GDPR 규제 대상이 아니다.

미국은 의료정보보호법(HIPPA)에서 '비식별화 된 의료정보'를 규정한다. 여기에 해당하는 의료 정보는 환자 동의 없이 자유롭게 활용 가능하다.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세 가지 경우에 한해 '합리적 연결 가능성'이 제거돼 개인정보 사용 기업이 면책된다고 규정했다. △데이터가 '식별성이 없도록'하는 조치 △비식별화된 데이터에 재시별을 시도하지 않을 것을 공개적으로 약속 △기업으로부터 비식별화된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3자도 재식별을 하지 못하도록 조치 후 제3자 재식별화 여부 모니터링 등을 지켜야 한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