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테크노파크 예산은 지난해보다 5.4% 증가한 4053억원입니다. 예산 편성의 상당 부분이 스마트공장입니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얼마전 전국 테크노파크(TP) 원장들과의 간담회에서 한 말이다. 박 장관은 간담회에서 문재인 정부의 주요 국정 과제라고도 강조했다. 오는 2022년까지 3만개 구축이 목표인 가운데 현재까지 1만2660개를 구축했다고 소개했다. 박 장관은 “보급 사업에 주력했다면 이제는 스마트공장을 좀 더 레벨업하고 분류해서 각 기업이 적합한 레벨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도록 지도해 주는 역할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박 장관의 요구에 대해 TP 현장에서는 '부담이 너무 크다'는 목소리가 높다. 목표치가 너무 늘었다. 중기부는 TP를 통해 올해 4000개 이상을 더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는 시각이 적지 않다. 실제로 지난달 기준으로 지난해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한 TP가 6곳 이상이다. 수도권에서도 포천시의 경기 대진만 목표치를 채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보다 월등히 높아진 할당량을 어떻게 채워야 할지 고민이라는 게 현장 담당자들의 일관된 하소연이다.
스마트공장 업무 담당자 수가 너무 적다는 지적도 나온다. TP마다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을 위한 제조혁신센터를 구축했지만 전담 직원은 두 명 안팎에 불과하다. 고육책으로 단기 계약자를 고용하거나 다른 직원에게 부수 업무로 배당하는 방식으로 대처하고 있다. 전문 지식이 없다 보니 업무 효율성이 떨어지고, 업무 과중을 호소하는 직원도 많다. 게다가 발굴부터 협약까지 기업당 최소 세 차례 방문해야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대면 업무 자체가 어려워지는 등 이중고를 겪고 있다.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은 중소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이다. 그러나 일선 TP 현장에서는 지나치게 많은 할당량에 부담을 느끼고, 해당 업무 담당자는 기피하는 업무로 인식하고 있다. 취지가 좋다고 한들 이를 실행할 현장이 부담감을 느낀다면 효과 발휘가 어렵다. 정부는 현장 고충을 헤아려 사업 효과를 높이기 위한 묘수가 필요할 때다.
충청=강우성기자 kws924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