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에서 '라이드셰어링' 산업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뜨겁습니다. 미래에는 차량을 직접 소유하기보다 필요할 때만 이동 서비스를 소비하는 방식이 선호될 것이라는 관측 때문입니다. 세계 라이드셰어링 시장은 2018년 613억달러(약 75조원)에서 오는 2025년에는 2180억달러(약 267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시장을 선점하는 업체가 가져가는 이점이 많아 신규 업체는 물론 전통 자동차 제조사까지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Q:라이드셰어링 서비스는 무엇인가요.
A:라이드셰어링(승차공유)은 공유경제에 기반한 이동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일반 자동차는 보통 5인 이상이 탑승할 수 있도록 설계됐지만 실제 거리에서는 운전자 1명만 탄 '나홀로 차량' 비중이 굉장히 높습니다. 특히 교통정체가 심한 출근시간대에는 10대 중 8대가 이런 나홀로 차량으로 집계됩니다. 이동 경로가 비슷한 사람끼리 차를 같이 탄다는 의미에서 라이드(Ride) 셰어링(Sharing)이라는 표현이 붙었습니다.
통상 자신이 소유한 개인 승용차에 승객을 태워주고 요금을 받는 서비스 대부분이 포함됩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출발한 '우버'가 가장 유명하며, 중국 '디디추싱', 동남아시아 '그랩' 등은 모두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기업이 됐습니다. 예전에도 불가능한 서비스는 아니었지만 위치정보 공유 및 실시간 호출을 가능하게 한 스마트폰 대중화로 인해 급격하게 산업이 발전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라이드세어링은 세계 각국에서 전통 택시업계와 갈등을 야기하기도 합니다. 택시는 대부분 국가가 총량을 통제하고 있어 기사가 자격시험을 통과하고 택시면허를 보유해야만 승용차로 유상운송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라이드셰어링이 확대되면서 사실상 택시와 같은 서비스로 자리 잡자 시장을 빼앗긴 택시운전사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Q:국내에서도 라이드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나요.
A:라이드셰어링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이전에 '카풀'이라는 민간 활동으로 많이 이뤄졌습니다. 다만 지금처럼 산업적 개념이 아니라 지인들끼리 출근길에 차를 돌아가며 태워주는 '품앗이' 성격이 더 컸습니다. 정부도 카풀을 권장하기 위해 법안에 '출퇴근길 카풀은 돈을 받고 운송행위를 해도 불법이 아니다'라는 규정을 추가했습니다.
카풀은 지금도 잘 활용하는 사람도 있지만 유류비 비용 분담 문제, 상호 간 매너 문제, 그리고 무엇보다 출발지와 목적지가 일치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크게 활성화되지 못한 상태입니다. 특히 직장 상사와 하는 카풀은 제대로 된 보상은 받기 어려운 반면에 차량 소유주 시간과 돈은 더 써야하니 문제가 더 컸습니다. 상사의 과도하게 잦은 카풀 요구가 직장 내 괴롭힘이라는 논란도 불거집니다.
이런 문제 때문에 제3자가 중간에서 보상과 경로를 매칭해주는 카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서비스가 인기를 끌기도 했습니다. 승객이 앱에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플랫폼이 적절한 운전자를 배정해주는 방식입니다. '카카오택시' 앱에서 택시를 부르는 방법과 상당 부분 유사합니다. 국내에서 금지된 우버X 서비스를 출퇴근 시간에만 활용하도록 개량한 셈입니다.
그러나 '출퇴근 시간'을 언제부터 언제까지로 봐야하냐는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시장 침식을 우려한 택시업계는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평일 오전 7시~9시, 저녁 6시~8시'로 운영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카풀업계와 이용자들은 유연근무제 확대로 출퇴근 시간이 사람마다 달라 24시간 운영을 할 수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정부와 국회는 택시 측 주장을 받아들여 유상 카풀은 오전과 저녁 두 시간 동안, 하루 두 번만 가능하도록 법안을 다시 개정했습니다. 현재 무상 카풀은 원하는 시간 언제든지, 유상 카풀은 법으로 정해진 시간에만 운영해야 합니다.
Q:'타다' 서비스는 라이드셰어링인가요.
A:11인승 승합차를 기사와 함께 제공하는 타다베이직은 승차거부 전면 차단 및 친절한 기사 서비스를 앞세워 단기간에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다만 서비스 자체는 혁신적이라고 보더라도 타다 모델 자체를 공유경제 혹은 라이드셰어링으로 봐야 하는지는 이견이 분분합니다. 11인승이나 되는 차량으로 승객 1명만 태우고 다닌다면 택시와 비교해도 공간 및 자원 낭비가 심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카셰어링 사업 역시 공유경제가 아니라 '초단기 렌터카'로 구분되기도 합니다. 이는 현행법 상 개인이 소유한 자가용을 유상으로 타인에게 빌려주는 공유경제 모델이 금지돼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마찬가지로 타다 역시 자가용을 통한 유상운송이 금지돼 있기 때문에 렌터카로 이를 대체한 모델입니다.
이용자가 많아지면 조금 더 라이드셰어링 본질에 가까운 '우버풀' 모델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우버풀은 택시 합승과 비슷한 개념인데, 경로 내 승객을 계속 태우고 내려주면서 주행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경로와 비용, 이용자 매칭을 섬세하게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고난도 기술이 필요합니다. 향후 자율주행 기술이 현실화되면 운전자 없는 자동차가 돌아다니며 승객을 태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우버나 카풀, 타다가 모두 규제 대상이 됨에 따라 필요한 이동 데이터를 충분히 축적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주최:전자신문 후원:교육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련도서]
◇'우버 인사이드' 애덤 라신스키 지음, 행복한북클럽 펴냄.
스타트업 우버가 다국적 거대 기업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책. 우버는 현재 전 세계 600여개 도시에 진출하며 1만5000여명 직원을 거느리고 있다. 택시 한 대 없이 세계 최대 택시회사를 키워냈다. 우버의 아이디어와 추진력, 성공의 기반이 된 자산 보유 최소화 원칙, 거대 물류회사로 도약하며 자율주행 자동차와 비행자동차 개발까지 뛰어드는 거침없는 도전과 혁신, 자기 일에 몰두하는 성장 지향적인 조직문화 등을 집중 조명했다. 글로벌 플랫폼 기업의 새로운 강자로 떠오른 우버의 성공 비결을 잘 보여준다.
◇'공유경제' 마화텅 지음, 열린경제 펴냄.
중국 3대 IT업체 중 하나인 텐센트의 마화텅 최고경영자(CEO)가 텐센트 연구원과 함께 공유경제를 소개하는 책이다. 책은 공유경제를 대중이 커뮤니티 플랫폼을 통해 타인과 자신의 유휴 자원을 공유하고 나아가 수익을 창출하는 경제 현상이라고 정의한다. 개인·유휴·네트워크·이익이라는 네 가지 키워드로 공유경제를 분석한다.
공유경제의 기원과 정의, 세계 주요 국가들의 현황, 각국 정부가 취하고 있는 태도, 관련 기업의 발전 과정과 미래 가능성 등 공유경제와 관련한 거의 모든 분야를 깊게 다루고 있다.
한국 공유경제 사례도 별도 장을 할애해 눈길을 끈다. 책은 한국 공유경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볼 때 늦은 출발에 비해 발전 속도는 빠른 편”이라고 평가한다.
이형두기자 dud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