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금융위기 논쟁 촉발... 위기론 VS 신중론 팽팽

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실물경제가 침체하면서 금융위기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글로벌 시장에서 제기되고 있다. 금융위기로 확산될 것이냐 아니냐를 놓고 전문가들 해석이 엇갈린다. 전반적으로 '아직 금융위기는 아니다'라는 분위기지만 강력한 추가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지 않으면 금융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위기 아니다. 2분기 U자형 반등

금융투자 전문가들은 과거 금융위기를 학습한 경험을 바탕으로 각국 정부가 단기 유동성을 확대하는 등 양적완화와 금리인하 등 정책을 가동하고 있어 좀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보고 있다.

박옥희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가 금융시장에 큰 타격을 줬지만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같은 세계적 금융시스템 위기로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당시 금융시스템 위기는 주요 국가의 과잉 투자와 금융기관 건전성 문제가 있었는데 금융위기가 생기면서 부채를 축소했고 이것이 경기부양과 회복에 부담이 됐다고 분석했다. 또 금융위기 이후 위험자산 투자 규제를 강화하면서 자산건전성이 높아져 금융기관의 지불 리스크도 낮다고 봤다.

안기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확산 속도가 둔화하고 정부 정책대응이 성공한다면 은행시스템에 문제가 없을 시 2분기에 U자형으로 반등할 가능성이 60%”라고 제시했다.

그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보다 미국 은행의 유동화자산 비율이 3%에서 10%로 상승해 금융시스템 리스크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 이달 주식 시장 변동성과 미국 회사채 스프레드가 커졌지만 이것이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안 연구원은 “원유 감산합의가 실패해 유가 급락이 겹치면서 제조업 전반에서 판매단가 하락이 예상돼 글로벌 경제가 2분기 V자 반등은 어렵고 U자형 회복을 예상한다”고 진단했다.

◇금융위기에 대비해야. 단기 유동성 경색

금융위기와 경기침체 가능성을 계속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신얼 SK증권 연구원은 “과거 사례를 보면 금융시장 불안신호가 나타난 후 2년이 지나 금융위기가 발생했다”며 “현 시점에서 금융위기나 경기침체를 확신할 수는 없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이 트리거 역할을 하면서 과거보다 금융시장 충격 속도가 빨라졌다”고 말했다.

신 연구원은 단기 자금시장 유동성이 빠르게 경색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달 들어 금융시장 위험선호를 나타내는 지표인 리보OIS 스프레드와 테드 스프레드 등이 평균 변동범위를 훌쩍 뛰어넘었고 변동폭도 평균 범위의 갑절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그는 “단기 자금시장 이상 신호가 본격 표출된 것이며 이같은 자금 경색 속도는 이례적”이라며 “향후 스프레드가 추가 확대하고 향후 2~3주간 지속된다면 금융위기 가능성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봤다.

신 연구원은 “코로나19가 금융시장 충격에 이어 실물경제 위축과 둔화로 이어지는 초입 단계로 판단한다”며 “경기둔화 속도 대비 통화정책 대응이 늦어지면 경기위축 속도가 빨라지고 둔화 깊이가 깊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주요국 경기부양 대책 발표 잇따라

최근 주요 국가는 다양한 경기 부양책을 가동하거나 가동을 준비하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연말까지 1200억유로 양적완화정책을 발표했지만 기준금리를 동결해 시장을 혼란시켰다. 스페인과 불가리아는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모든 가용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언급했다.

EU집행위원장은 370억유로 투자기금 계획을 발표했으며 독일은 감세 등으로 기업에 수십억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은행 지급준비율을 인하해 550억위안 규모 유동성 확대 효과를 기대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50bp 인하하고 필요시 추가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노르웨이 중앙은행도 기준금리를 50bp 인하했다. 스웨덴 중앙은행은 중소기업에 5000억크로나 규모 특별융자 지원을 결정했다.

<표>주요 국가 경기부양 대책 (자료: 국제금융센터)

코로나19 금융위기 논쟁 촉발... 위기론 VS 신중론 팽팽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