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해 초·중·고 휴업이 장기화되면서 온라인 수업은 필수가 됐다. 그동안 에듀테크에 보수적이었던 공교육 시장도 학습 공백을 막기 위해서는 다양한 에듀테크 서비스 도입이 시급하다. 전문가들은 일방적인 온라인 중계가 아닌 학생 참여형 양방향 교육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개학이 연기되면서 학교 현장에서 교사가 자율적으로 온라인 수업 방식을 선택해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반면 온라인 교육에 익숙하지 않은 교사들은 에듀테크 서비스 도입에 소극적이다. 임연욱 한양사이버대 교육공학과 교수는 “교사들은 그동안 에듀테크 활용 경험이 낮고 심리적 저항감도 있다”고 진단했다.
경기도 A고등학교 국어 교사는 “카카오톡으로 학생들과 단체 채팅 창을 만들어 매일 읽을거리와 문제를 내고 있다. 적극적으로 에듀테크 서비스를 활용하고 싶지만, 사용한 적이 없어 어렵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그는 “대부분 교사들이 문제집을 사진으로 찍어 공유하거나 EBS 정도를 활용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정확한 학생의 과제 참여도도 알기 어렵다. 서울 B중학교 교사는 “카카오톡 투표하기 서비스로 반학생이 과제를 했는지 안 했는지 확인하는 형식적인 방법을 택했다”며 “사실 이 정도로는 학생들이 과제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 알 방법이 없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에듀테크 서비스 도입으로 양방향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에듀테크를 이용하면 AI·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등의 기술을 이용해 학생 한명을 위한 수준별 맞춤 교육이 가능하다.
이광세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이사는 “교사가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수업이 아니라 철저하게 학생 중심의 온라인 수업이 이뤄져야 한다”며 “학습 데이터가 교사와 학생 사이에 오가는 양방향 수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에듀테크 서비스를 활용하면 교사가 학생 수준을 알고, 수업이 효과적으로 전달됐는지도 파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높은 기술력을 갖췄지만 국내 공교육 시장 진입이 어려워 해외로 눈을 돌린 에듀테크 기업에도 좋은 기회다. 국내 에듀테크 기업은 국내보다 해외 시장에 집중하고 있다. 노리, 뤼이드, 럭스로보, 아이스크림에듀, 아이포트폴리오, 유비온, 타임교육, 클래스팅 등 기술력을 가진 다수 에듀테크 기업이 해외에 진출했다. 에듀테크 기업 관계자는 “국내 공교육시장에서는 에듀테크 기업을 '사교육'이란 편견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시장 진입이 거의 불가능했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국내 에듀테크 스타트업 중 좋은 기술력을 가진 곳이 많지만 공교육 시장 자체에 들어가기 어려워 좌절하는 곳이 많았다”며 “이번 기회에 문을 열어 학교와 에듀테크 기업이 서로 윈윈하는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