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보증 '58조' 펀드·자금 '42조'..."기관 단기 감내할 최대 수준"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 1차보다 파격
신보 '회사채 발행' 대기업까지 확대
10조원 규모 증권시장안정펀드 조성
업계 "신속 집행으로 효율성 높여야"

대출·보증 '58조' 펀드·자금 '42조'..."기관 단기 감내할 최대 수준"

정책금융기관이 단기적으로 감내 가능한 최대 수준으로 금융시장에 자금을 공급하기로 했다. 지원 대상을 중견·대기업까지 확대하고 보다 구체적인 금융시장 안정장치도 제시했다. 각각 10조원 안팎으로 구성된 증권시장안정펀드와 채권시장안정펀드는 다음 달 초부터 본격 투자를 시작한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4일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4일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정부는 먼저 중소·중견기업이 코로나19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을 총동원해 58조원 규모 대출·보증을 공급하기로 했다. 지난 1차 발표 당시 29조원 규모였던 자금지원 계획에 29조원이 추가되는 것이다.

은 위원장은 “정책금융기관이 단기적으로 감내 가능한 최대 수준으로 자금(대출·보증)을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주식시장, 회사채시장, 단기자금시장 등 금융시장 불안요인에 대응할 수 있는 42조원 규모 펀드·자금을 마련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20조원 상당으로 조성될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즉각 실행할 방침이다. 채권시장안정펀드는 기존 발표한 10조원 규모 두배인 20조원으로 확정했다. 투자대상은 회사채뿐만 아니라 우량기업 단기사채(CP), 금융채 등이다.

출자금융회사로 구성된 리스크관리위원회에서 3조원 규모 1차 캐피탈콜(펀드자금 요청)을 진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4월부터 채권을 매입할 예정이다.

이미 발표한 신용보증기금의 회사채 발행지원 프로그램(P-CBO) 6조7000억원도 신속 지원할 계획이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 여파가 실물경제 전반에 미칠 가능성에 대비해 지원 대상도 중소·중견기업에서 대기업까지 확대한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4일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4일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원활한 회사채 차환발행을 위해 회사채 신속인수제도, 산은 등 정책금융기관의 우선 매입을 통해 4조1000억원을 추가 지원한다. 단기자금 시장 안정화를 위해서는 증권사에 대해 증권금융 대출 등을 통해 5조원 규모 유동성을 지원한다. 정책금융기관이 2조원 규모 우량 기업어음과 전자단기사채를 매입하면 총 7조원 규모가 지원된다.

주식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5대 금융지주와 업권별 주요 금융회사 등과 10조원 규모 증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한다.

주식시장 전반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별 주식이 아닌 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상품에 투자·운용한다. 1차 캐피탈콜 규모는 약 3조원 내외가 되며, 4월 초부터 본격 투자를 개시한다.

금융회사의 투자 장애요인을 해소할 수 있도록 출자 금융회사에 대한 건전성규제 부담완화, 투자 손실위험 경감을 위해 세제지원방안도 마련 중이다.

은 위원장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의 가입 대상을 확대하고 투자 대상에 주식을 추가하는 등 효과적인 세제지원 방안을 세제당국이 강구하기로 했다”며 “국민이 보다 장기적인 시각으로 우리 증권시장에 투자하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실물경제 타격이 급속히 악화된 만큼 이번 대책이 신속하게 집행돼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중기중앙회는 논평을 통해 “지난 1차 대책에 이어 기업 유동성 보강과 고용안정을 위한 파격적인 대책”이라며 “현장에서 체감할수 있도록 신속한 집행과 사후 모니터링 강화를 통한 정책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혜기자 jihy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