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 4월 10일 서울 종로 네거리에 처음으로 가로등 3개가 점등돼 전차 정거장과 매표소를 밝혔다.
이를 기념해 대한전기협회를 비롯한 전기산업계는 1966년부터 4월 10일을 '전기의 날'로 지정, 기념식과 각종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55주년이다.
실제 우리나라 전기역사의 첫 시작점은 더 거슬러 올라간다. 이보다 13년 전인 1887년 경복궁 건청궁에 첫 '전깃불'을 밝혔다. 그래서 3월 6일을 전기의 날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1887년은 에디슨이 40시간 장수명 백열전구를 발명한 1879년 11월에서 불과 8년 후다. 중국, 일본보다도 2년이나 앞선 전깃불을 밝힌 기록이다.
당시 경복궁에 구축한 발전기는 에디슨주식회사가 제조한, 동양 최고 수준의 설비였다. 16촉광 백열등 750개를 동시에 켤 수 있는 용량이다.
전기산업 전문가들의 논의 끝에 민간 최초로 전등을 밝힌 4월 10일을 전기의 날로 확정하고, 1966년 1회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후 1970년 상공부령 제333호에 의거 법정기념일로 지정됐다.
국내에 전등을 처음 설치한 장소가 궁궐이었던 것은 설치비와 유지비가 많이 드는 최첨단 과학문물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곳은 궁궐밖에 없었다.
처음으로 전깃불이 켜진 날, 건청궁 주위는 칠흑 같은 어둠을 밝힐 전기를 구경하려는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고 한다. 당시에 발전기는 물로 열을 식히기 위해 연못가에 설치했는데, 이 때문에 사람들은 전등을 가리켜 '물을 먹고 켜진 불'이라며 '물불'이라 불렀다.
이후 묘한 불이라는 '묘화', 괴상하다는 '괴화', 건들거리면서 자주 꺼진다는 '건달불' 등 여러 별명으로 불리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