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산업군이 '포스트 코로나' 대책으로 분주하다. 코로나19 사태가 정확히 언제 진정될지는 알 수 없지만 반드시 회복기가 올 것이라는 점을 믿기에 사회 전반에서 위기를 기회로 바꾸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아무도 가 보지 못한 길이기에 답안도 없다. 다만 지난 몇 개월 동안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우리는 '디지털'의 위력을 그 어느 때보다 크게 경험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은 코로나 전파를 억제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였고, 희망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량의 마스크 생산에 스마트공장, 약국을 통한 마스크 배급에는 위치정보기술, 진단키트에는 빅데이터와 세계 최고 의료 바이오기술이 각각 기여했다. 원격 회의와 원격 수업은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면서도 최소한의 일상생활과 경제 활동을 유지할 수 있게 했다. 온라인 개학이라는 초유의 사태도 아주 큰 탈 없이 현실화시켰다.
우리는 '세계 최고 ICT 강국'이라는 위상에다 자신감을 추가로 부여받았다. 전 세계의 찬사를 받고 있는 지금이다. '디지털화의 뉴노멀'을 주도, 스마트 대한민국을 보여 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선결 과제가 있다. 코로나19 이전에 만든 정부의 스마트 대한민국 정책을 일제 점검해야 한다. 초토화된 항공·관광 산업 등은 빠르게 회복시켜 나가야 한다. 이 과정에서 자동차·조선·해운 등 전통 기간산업과 의료·바이오·인공지능(AI) 등 신산업을 구분해 디지털 혁신을 촉진해야 한다. 우리 산업의 체질을 바꿀 디지털 방향을 다시 바로잡아야 한다. 본격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공장은 단순히 생산성 향상 단계를 넘어 서비스 고도화 단계로 끌어내고, 스마트 상점도 키오스크 적용을 넘어선 새로운 가치 창출을 노려야 한다. 특히 산업생태계 전반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하는 플랫폼 전략도 대계가 필요하다.
속도도 중요하다. 공장 컨베이어벨트가 멈추기 전에 조속히 윤활유를 공급, 성장 체력을 길러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빠르게 연착륙해 낸다면 '스마트 대한민국'이라는 상품은 또 다른 '수출 효자'가 될 수 있다. 세밀하게 구상하고 대비해야 기회가 있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