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노동생산성 전년대비 1.4% 상승…"올해는 코로나19 충격 전망"

지난해 노동생산성이 부가가치 상승에 따라 전년대비 1.4% 상승했다. 올해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라 부가가치와 노동투입이 동반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한국생산성본부는 6일 발표한 '2019년 노동생산성 동향'에서 전산업 노동생산성 지수가 110.0이라고 밝혔다. 2018년과 비교해 1.4% 늘었다.

전산업은 광업, 제조업, 전기가스·수도업, 건설업, 서비스업을 포함한다. 노동생산성 지수는 노동투입량에 대한 부가가치와 산업생산 산출량 비율이다.

노동생산성 구성 요소 중 부가가치는 1.9%, 노동투입은 0.5% 증가했다. 부가가치는 정부 소비 증가율 확대에도 민간소비와 수출 증가율이 둔화했다. 건설·설비 투자가 줄면서 증가 폭은 전년 2.7%보다 낮아졌다.

작년 노동생산성 전년대비 1.4% 상승…"올해는 코로나19 충격 전망"

노동투입은 근로자 수 증가율이 높아지고, 근로시간 감소율이 줄면서 2018년 -0.9%에서 반등했다. 전체 증가율은 전년 3.6%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을 기록했다.

근로시간은 주 52시간 정책에 따라 2018년 -1.8시간에서 작년 -0.6시간으로 감소했다. 상용 근로자 소정 실근로시간은 0.2%, 초과 근로시간은 4.2% 각각 줄었다. 근로시간 단축 정책이 초과근로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 수 부문에서는 제조업이 감소한 반면 서비스업은 꾸준히 증가했다. 제조업은 2015년 대비 1.3%포인트(P) 줄어든 16.3%, 서비스업은 0.6%P 증가한 66.5%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제조업 노동생산성지수는 2.7% 증가한 116.6으로 집계됐다. 부가가치는 1.4% 늘었다. 노동투입은 근로자 수와 근로시간이 동반 감소해 1.3% 하락했다.

제조업 중 소재·부품·장비 산업에 해당하는 중분류 12개 업종을 살펴본 결과 작년 노동생산성은 컴퓨터·전자·광학기기, 자동차·트레일러, 섬유, 1차 금속 4개 업종에서 증가했다. 감소는 8개 업종에서 나타났다.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지수는 전년 보다 1.4% 증가한 108.8을 기록했다. 부가가치는 2.5% 늘었다. 노동투입은 1.1% 높아졌다.

한국생산성본부는 “일부 업종에서 부가가치 둔화와 노동투입 감소가 함께 나타났다”라면서 “올해는 코로나19 충격으로 이 같은 현상이 산업 전반으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소비심리 개선을 통한 내수 확대, 선제적 고용대책 등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