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이끌 핵심으로 데이터가 부상한다. 데이터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경제 시대를 이끌 주요 산업 원료다. 양질 데이터 확보와 공유, 활용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정부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뉴딜 정책 주요 분야로 데이터를 꼽았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를 목표한다. 데이터 개방과 공유 확대를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데이터 관련 디지털 뉴딜 프로젝트를 준비한다.
◇코로나19 사태 속 빛난 데이터 공유·활용
데이터 공유와 활용은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주목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해 추진한 약국별 마스크 보유 현황을 알려주는 '마스크 앱'이 대표 사례다.
과기정통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한국정보화진흥원(NIA),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공적 마스크 판매 데이터와 국민안심병원, 선별진료소 데이터 등을 외부에 개방했다. 정부 주요 부처가 개방한 공공 데이터를 발판으로 민간에서 다양한 마스크 앱이 개발됐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부처마다 흩어진 데이터를 취합, 정제, 개방했다. 민간은 양질 데이터를 단일 통로(공공데이터포털)로 빠르게 전달받아 원하는 서비스를 자유롭게 제작했다. 공공데이터 개방과 활용 모범사례다.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세계가 주목하는 사례가 됐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공공데이터 전문가 그룹과 우리나라 공공데이터 개방과 활용 현황을 공유했다.
정부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핵심 과제로 데이터를 꼽은 이유도 이 같은 공유와 활용 성공 사례를 확인했기 때문이다. 안정적 데이터 공유와 활용이 민간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국민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베스트 프랙티스(모범사례)를 확보했다. 정부와 공공기관은 지난해보다 두 배 많은 4만9000여개 공공데이터를 올해 개방한다고 밝혔다. 공공 데이터 개방을 가속화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업계도 정부 시각에 동의한다.
조광원 한국데이터센터협회장은 “최근 데이터3법 통과를 비롯해 코로나19 사태 속 공공 데이터 활용 모범 사례가 늘어나면서 데이터 산업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한다”면서 “공공 데이터 개방뿐 아니라 양질 데이터가 개방돼 고품질 서비스로 연결되도록 정부 정책 밀착 지원이 뒷받침돼야한다”고 말했다.
◇디지털 뉴딜 2.0시대까지 고민해야
시장조사 업체 한국IDC에 따르면 국내 빅데이터·분석 시장은 202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1.2% 기록하며 2조5692억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빅데이터뿐 아니라 정부가 발표한 디지털 뉴딜 정책에 따라 데이터 기반 프로젝트도 다수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는 늘어나는 데이터 관련 프로젝트 수요에 맞는 인력 공급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019 데이터산업백서'에 따르면 향후 5년 내 전 산업의 데이터직무별 인력 부족률은 평균 16.1%다. 업계는 올해 데이터산업 트렌드 첫 번째로 '데이터 전문인력 확보 및 유지 어려움 가중'을 꼽았다.
조 회장은 “디지털 뉴딜 사업에 따라 데이터 관련 프로젝트가 많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지만 업계에서는 지금도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다”면서 “디지털 뉴딜 실질적 사업을 수행하는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 적절한 인력이 배치되고 채용될 수 있는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프라 마련도 동반돼야 한다. 방대한 양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공유하기 위해 시스템이 중요하다. 클라우드 시스템이나 데이터 거래소, 데이터센터 등 데이터 연관 인프라 조성도 필요하다.
단기적 일자리 창출을 넘어 중장기적 신산업 발전으로 고민이 이어져야 한다.
노규성 한국생산성본부 회장은 “데이터 인프라와 일자리를 만드는 디지털 뉴딜 1.0에서 시작해 나아가 이를 산업 전반으로 확대하는 디지털 뉴딜 2.0으로 이어가야 데이터 기반으로 산업 전반이 고도화된다”면서 “지역에 지역 데이터를 수집·관리하는 통합 데이터센터를 지자체 산하 기관으로 설립하고 지역별 데이터 융합단지를 조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노 회장은 “디지털경제 시대 경쟁력은 데이터 확보와 활용에 달렸다”면서 “지역 데이터센터와 융합단지 구축으로 지역 간 디지털 불균형도 완화하고 디지털 신산업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