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고체전해질 구조·이온 이동경로 밝혀

이현욱 UNIST 교수
이현욱 UNIST 교수

국내 연구진이 독자적인 전자현미경 분석법을 개발, 화재나 폭발 위험이 적은 전고체전지 전해질 구조 파악에 성공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총장 이용훈)은 이현욱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과 정윤석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팀이 '극저온 투과전자현미경 분석법'으로 황(S)화합물 고체전해질 구조를 원자 단위에서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황화합물 고체전해질은 이온 전도도는 높지만 전자빔을 쏘이면 쉽게 손상돼 일반 투과전자현미경으로는 관찰하기 어려웠다.

일반 투과전자현미경(왼쪽)과 극저온 투과전자현미경(오른쪽)으로 관찰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의 결정 구조.
일반 투과전자현미경(왼쪽)과 극저온 투과전자현미경(오른쪽)으로 관찰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의 결정 구조.

이 교수팀은 황화합물 고체 전해질을 직접 관찰하기 위해 극저온 투과전자현미경 분석법을 도입, 물질을 영하 170℃로 순간 냉각하고 공기와 접촉은 차단해 '손상 없이' 관찰·분석했다. 이 분석법은 주로 살아있는 세포나 미생물 관찰에 사용해 온 방법으로 전지용 물질 분석에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교수팀은 이 분석법으로 황화합물 고체 전해질의 육각형 모양 원자 배열 구조를 확인했다.

이현욱 교수는 “이 분석법은 공기와 접촉을 차단하고 물질의 손상을 막는 기법이라 반응성이 높은 리튬 이온전지의 다른 구성요소를 관찰하는 데도 응용할 수 있다”면서 “이차전지 산업은 물론 바이오 및 재료과학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