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고령화시대를 맞아 정년연장을 논의 중인 가운데,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급작스러운 정년연장 시행은 기업에 부담으로 작용다고 분석했다. 특히 기업은 명예퇴직이나 권고사직 등을 확대하거나 신규채용을 줄여 청년 고용 감소 등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4일 이런 내용을 담은 '정년 연장이 고령층과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효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요셉 연구위원은 “지난 2016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된 60세(이상) 정년 의무화로 인해 민간사업체에서 고령층(55∼60세) 일자리는 증가한 반면, 청년층(15∼29세) 일자리는 감소했다”며 ”이런 효과는 대규모 사업체 내지 기존에 정년이 낮았던 사업체에 집중됐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민간사업체(10∼999인)에서 정년 연장의 예상 수혜자가 1명 증가할 때 고령층(55∼60세) 고용은 약 0.6명 증가한 반면, 청년층(15∼29세) 고용은 약 0.2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연구위원은 “이 결과는 정년 연장이 급격히 이뤄질 경우 부작용이 상당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특히 고령층 고용 증가 효과는 규모가 큰 사업체(100인 이상)와 규모가 작은 사업체(10인 이상 100인 미만) 모두에서 나타나지만, 규모가 큰 사업체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또 기존 정년이 55세 또는 그 이하였던 경우는 청년 고용이 큰 폭(0.4명) 감소, 58세 또는 그 이상이 정년이었던 경우는 청년 고용 감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보고서는 이런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년 연장의 필요성은 분명하더라도 시행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 연구위원은 “정년을 한꺼번에 큰 폭 증가시키는 방식은 민간기업에 지나친 부담으로 작용해 부작용을 초래한다”며 “기업은 부담을 줄이기 위해 명예퇴직이나 권고사직 등을 확대 시행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신규 채용을 줄여 청년 고용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따라서 제도적 정년 연장이 사회적 합의로 결정되더라도 점진적으로 시행해 노동시장에 가해지는 충격이 충분히 흡수될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고령 인력의 직무설계 등 노무인사관리 변화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점, 현재 출생연도 4년당 1세씩 증가하는 연금수급 개시 연령의 변화 속도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재희기자 ryu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