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 추진 중인 벤처창업 촉진 지원 제도가 창업 초기 자금난 해소에 미흡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18일 '엔젤투자 촉진을 통한 벤처창업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공개하고 창업 초기 벤처기업 자금난 해소를 위해 △엔젤투자 소득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 △회수시장 활성화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부는 지난 1997년 '벤처기업육성법' 제정 이후 엔젤투자 소득공제 등 벤처창업기업을 위한 투자지원제도를 운용했다. 2018년 엔젤투자는 5538억원 규모지만 벤처캐피털(VC) 투자(3조4249억원, 2018년) 16.2%에 불과했다. 미국 엔젤투자 규모는 2011년 기준 약 225만달러(2011년)로 벤처캐피털 투자의 34% 수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0.11%(한국 0.01%) 수준이다.
산업연구원이 지난 2월 1~26일 엔젤투자자 264명을 대상으로 투자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문형·전문기업가형 엔젤(57.9%), 후견형 엔젤(32.6%), 기타(9.5%) 순으로 조사되됐다.
엔젤투자자가 투자하는 벤처기업 수는 평균 5.2개, 기업당 투자금액은 평균 9700만원, 연 평균 투자금액은 1억2000만원이다. 엔젤투자한 벤처기업 업력은 3.2년, 엔젤투자 주식 보유기간은 4.3년으로 나타났다.
엔젤투자에 따른 3년 기대수익률은 52.2%, 손실 감내 수준은 37.3%로 조사됐다. 엔젤투자 과정의 애로사항은 회수기간 장기, 높은 투자 리스크, 후속 투자자금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엔젤투자 지원제도 인지도 및 활용도, 만족도는 5점 기준으로 인지도 3.6점, 활용도 3.1점, 만족도 3.1점을 기록했다.
엔젤투자가 활성화되지 못한 문제점으로는 '지원제도 미흡'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인프라 구축, 엔젤투자 환경조성 미흡, 기타가 뒤를 이었다.
양현봉 산업연구원 박사는 “정부가 재정 투입 없이 벤처 창업 기업에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선순환 창업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