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스웨덴에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가 시범운영 단계에 돌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하마는 이미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한국은행은 14개 중앙은행의 12개 사례를 분석한 '해외 CBDC 추진 상황' 보고서를 18일 발표했다.
이용 목적을 보면, 노르웨이·동카리브·바하마·스웨덴·영국·중국은 소액결제용 CBDC를 연구 중이다. 스위스·싱가포르·일본-ECB·캐나다·태국-홍콩·프랑스의 경우 거액결제에 CBDC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거액 CBDC를 도입하고자 하는 중앙은행들은 모두 직접 운영방식을 고려한다. 소액 CBDC의 경우 간접 운영방식을 염두에 두고 기술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원장관리는 거액·소액 모두 분산형을 택했다.
바하마, 스웨덴 및 중국은 개념검증을 종료하고 시범운영을 준비중이거나 실시중이다.
중국 인민은행은 페이스북 리브라(Libra) 등 민간 디지털화폐로 위안화의 국제적 지위가 위협받을 것을 대비해 소액 CBDC 발행을 준비중이다.
거액결제용과 소액결제용을 구분해 발행하는 간접운영 방식을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화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해 중앙은행과 금융기관 간 거액결제용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은행 외에도 알리바바, 텐센트 등 온라인 지급서비스 제공자도 참여 가능한 방식이다.
또 금융기관이 국민에게 CBDC를 공급〃회수하며, 기관마다 각자의 소액결제용 네트워크를 구축해 운영할 것으로 추정된다. 초당 30만건의 거래를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트코인은 초당 7건, 이더리움은 초당 15건, 페이스북의 리브라는 초당 1000건을 처리하는 것을 감안하면 시스템 성능 고도화에 공을 들이는 것으로 보인다.
스웨덴은 자국내 현금 사용량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상황에서 공공 영역의 소액전자지급수단 대안이 부재한 상황이다. CBDC 발행을 통해 개인간(P2P)거래 기능 제공을 목표로 한다. 사용자들은 파일럿 단계에서 스웨덴 중앙은행이 개발한 앱을 사용하고 이후 단계에서는 중개기관이 개발한 앱을 사용할 예정이다.
바하마 중앙은행은 지난해 3월 민간업체 NZIA를 CBDC 솔루션 공급자로 선정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한은 분석 결과 각국 중앙은행 원장은 분산형으로 관리하며, 이를 위해 하이퍼레저 패브릭, 코다 등 다양한 분산원장 플랫폼을 활용해 CBDC 구현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다.
현재까지 분산원장 플랫폼 시장은 업체간 경쟁 때문에 아직 뚜렷한 시장 지배적 기술이 없는 상황이다.
한은은 CBDC 파일럿 테스트를 내년에 시행할 계획이다. 연내 CBDC 도입에 따른 기술적·법률적 필요 사항을 사전 검토하고, 내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파일럿 시스템 구축과 테스트를 진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은은 “해외 중앙은행의 CBDC 관련 기술검토 사례를 참고해 향후 개발할 CBDC 파일럿 시스템에 분산원장 등 최신 IT기술이 적절히 반영될 수 있도록 IT시스템을 구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지혜기자 jihy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