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 블록체인·디지털 자산 시장 대중화 선도](https://img.etnews.com/photonews/2005/1305193_20200528135557_244_0001.jpg)
두나무(대표 이석우)가 새로운 금융 서비스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2017년 업비트 출시 후 디지털 자산, 블록체인 서비스, 스타트업 투자, 디파이 서비스로 영역을 확장했다.
◇업비트, 국내 대표 디지털 자산 거래소로 성장
업비트는 투명한 디지털 자산 거래와 투자자 보호 규정을 가장 먼저 확립했다. 국내 첫 상장 전 스크리닝과 상장 후 관리 지침을 공개했다. 이를 근거로 '투자 유의 종목'을 지정, 안내했다
디지털 자산 거래 글로벌 표준도 제시했다. 업비트는 'ISO·ISMS 인증' '고객실명인증(KYC)'절차 도입' '다우존스 워치리스트' '체이널리시스' 솔루션 등을 도입했다.
편리하고 완성도 높은 투자 환경을 제공하는 점도 강점이다. 국내 최초 디지털 자산 프로젝트 주요 정보 공시 제도, 업비트 디지털 자산 인덱스(UBCI) 등을 제공한다.
◇DXM, 새로운 금융산업 디파이(De-Fi)로 확장
두나무는 자회사 DXM을 통해 디파이(탈중앙화 금융)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디파이는 송금, 결제, 대출 등 기존 금융 서비스를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으로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주요 사업 영역은 △디파이 프로토콜 개발 △디지털 자산 보호 △디지털 자산 관리다. 대표 서비스로 블록체인보상지갑 '트리니토'와 기업 전용 디지털 자산 수탁 서비스 '업비트 세이프'가 있다.
트리니토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디지털 자산 예치·대차를 지원한다. 한국 원화에 1대 1 가치가 고정된 스테이블코인 테라 KRT 예치와 대차 기능을 지원한다. 예금 이자는 매 시간 개인지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금도 언제든지 가능하다.
업비트 세이프는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한다. DXM의 블록체인 기반 다중서명 기술과 분산 콜드월렛, 출금한도 제한, 화이트 리스트로 자산을 안전 보관한다.
◇람다256·두나무앤파트너스, 블록체인 생태계 확대 지원
람다256은 지난해 두나무 산하 독립 법인으로 분사했다. 서비스형블록체인(BaaS) '루니버스'를 출시했다. 전문 프로그래머 없이도 인터넷 연결만 되면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 활용할 수 있다. 500개 이상 기관과 60개 이상 기업을 고객으로 확보했다.
루니버스 적용 대표 사례로 블록체인 여행·여가 포인트 통합 프로젝트 밀크가 있다. 람다256, 야놀자, 키인사이드가 제휴를 맺었다. 서울공항리무진과 딜카, 최근엔 신세계면세점도 파트너로 참여했다.
투자 전문 자회사 두나무앤파트너스는 2018년 1000억원 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뒤 31개 기업에 투자했다. 테라, 레이니스트, 달콤소프트, 어니스트펀드, 한국신용데이터, 핀헤이븐, 샌드박스네트워크에 투자했다. 게임업체 넵튠과 총 100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조성해 블록체인 게임 기업에 공동 투자했다.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