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공공연구기관으로부터 기술을 이전받은 중소기업들에 투자할 수 있는 '공공IP사업화' 펀드가 올해 처음으로 추진되면서 기술이전·사업화 촉진제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벤처투자는 '2차 정시 출자사업'을 공고하면서 공공IP사업화 운용사(GP) 모집에 나섰다. 모태펀드 185억원을 출자해 460억원 이상 결성을 목표로 했다. 그간 유사 펀드로 2014년 대학기술이전 전용펀드(100억원), 2018년 공공특허펀드(200억원) 등이 있었으나 기술사업화 취지의 공공IP분야 전담 펀드로는 사실상 처음이다.
정부의 이같은 조치는 우리나라 공공연구소와 대학의 기술사업화율이 5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 R&D 예산은 매년 늘어나고 있지만 이것이 사업화로 이어지지 않아 우수 연구개발 성과물들이 사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업계에서는 아무리 좋은 기술을 이전받더라도 사업화하는 과정에서 여러 허들들이 많아 상용화하기까지 어려움을 호소한다. 기술사업화가 연구개발 단계보다 통상 6배 이상의 많은 비용이 드는데다 시간도 많이 소요되면서 불확실성이 커져 사업화까지 생존율이 높지 않다.
벤처캐피털 관계자는 “기술을 이전해 간 많은 기업들이 상용화, 대량 생산을 위한 투자 단계에서 자금조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기술 그 자체만으로 국내에서 투자가 되지는 않기 때문에 핵심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의 후속 상용화를 위한 연계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업계는 대학과 공공연의 기술이전 기업을 위한 전용 펀드가 탄생했다는 점에 일단 환영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다만 사업의 규모가 460억원 정도라 실질적으로 수많은 대학과 공공연으로까지 혜택이 가기까지는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후속 상용화 지원 목적이 큰 만큼 자본력있는 기업들 위주로 수혜를 볼 가능성도 크다. 또 대부분의 기업들이 특허를 가지고 있는 만큼, 일반적인 특허펀드처럼 '구색맞추기식'으로 운영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김민성 엔슬파트너스 이사는 “적극적으로 기술이전해가는 기업에 투자까지 연계한다면 기술사업화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데다 연구소나 대학의 기술이전 담당자(TLO) 입장에서도 해당 기업이 잘 되면 기술 라이센스료 등을 수취할 수 있다”며 “취지에 맞게 펀드가 잘 운영도록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