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정책포럼]<102>디지털 경제화로 미래 농업 도약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는 포스트 코로나라는 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다. 코로나19 이후를 뜻하는 포스트 코로나는 경제·고용, 국제 연대, 사회·불평등 위기로 미래 불확실성이 큰 시대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인식 체계와 삶의 방식, 사회·경제 체제의 근본 전환을 필요로 하는 시기다. 이에 정부는 경기 부양 및 일자리 창출과 함께 미래 선도형 경제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휴먼 뉴딜 등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고 있다.

농업 부문 역시 농업·농촌 뉴딜의 포괄 추진과 대규모 투자 확충이 시급하며, 혁신 창출과 미래 지속 가능성 제고를 위해 무엇보다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AI) 등 활용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고령화에 대응한 농업 인력의 세대 교체 및 혁신 창출을 위한 역량 강화, 비용 절감·자원 절약을 비롯해 환경오염 감소를 위한 물·에너지·투입재의 효율 이용, 기후변화 등 위험 관리, 농산물 유통 효율화, 건강한 먹거리의 안정 공급 등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생산-유통-소비로 이어지는 농업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디지털 경제화가 요구된다.

전남 화순에 위치한 스마트팜 <전자신문DB>
전남 화순에 위치한 스마트팜 <전자신문DB>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온·습도, 일조량 등 재배 환경 제어 중심의 시설원예 분야 스마트팜이 빠르게 성장해 온 반면에 AI 및 네트워크와 결합한 데이터 수집·분석·활용은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명확한 활용 목적 설정과 데이터 표준화 미흡으로 인한 양질의 데이터 부족, 데이터 분석·활용 시장 미활성화로 인한 데이터 플랫폼 부족, 영세성과 전문 인력 부족으로 인한 농업 관련 데이터, AI 기업의 취약 등은 농업 부문 디지털 경제 활성화의 제약 요인이다.

제약 요인을 극복하고 디지털 융합의 미래 농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측정 및 탐색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 또 활용 편의성 제고를 위한 표준 데이터 제공과 데이터 세트 구성, 지속된 데이터 수집 등으로 품질을 제고하고 수집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

농업 가치사슬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분석·활용할 수 있는 농업 데이터 플랫폼 구축 또한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연구개발(R&D), 실증, 표준화, 사업화로 이뤄지는 데이터 중심 투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하드웨어(HW) 및 소프트웨어(SW) 개발과 더불어 비즈니스 모델 개발, 마케팅을 위한 비 R&D성 지원도 함께 필요하다.

나아가 민·관 협력 체계 구축으로 민간기업의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초기에는 정부 주도의 데이터 수집·관리로 시작해 중장기로는 민간기업 참여 확대 및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데이터 경제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업 기획 단계에서 공공연구 기관과 민간기업의 역할을 명확히 해 세부 서비스 모델을 공동 수립한 후 서비스 개발과 고도화는 공공연구기관, 서비스 운영과 확산은 민간 기업이 각각 수행하는 민·관 협력 형태로 데이터 플랫폼 상용화 서비스 개발·운영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다.

시설원예 중심의 스마트팜을 노지와 축산 등으로 확산해 농업 전 분야 생산 및 자원·환경관리를 효율화하는 스마트농업 고도화를 추진해야 한다. 또 빅데이터·AI를 통해 작물 선택, 재배 방식, 출하 시기 등 농업인의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농업경영의 실패 확률을 최소화하는 농업내비게이터와 오프라인 거래 중심의 농축산물 도매유통을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하는 농축산물 스마트 유통도 필요하다. 디지털화를 통한 농촌 삶의 질 개선과 저밀도 사회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스마트 농촌 등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추진이 요구된다.


궁극적으로는 정책 로드맵 수립, 전문 인력 양성, 민·관 협력 거버넌스 구축, R&D 투자와 시스템 혁신, 법과 제도 정비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농업 DNA(데이터, 네트워크, AI)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농업 부문 디지털 경제를 체계화해서 추진해야 한다.

김홍상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김홍상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김홍상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hskim@kre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