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8일 '한국판 뉴딜' 첫 현장 행보로 데이터·인공지능(AI) 기업을 찾아 '데이터댐'으로 디지털 경제 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디지털 뉴딜 개념을 데이터댐으로 정의했다. 댐을 건설해서 물을 모은 뒤 여러 용도로 사용하듯 수많은 부가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과정을 데이터에 접목해 디지털 경제 시대의 새로운 '뉴딜'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한국판 뉴딜의 첫 현장 행사로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더존비즈온 강촌캠퍼스를 방문해서 '디지털 뉴딜=데이터댐'이라는 공식을 밝혔다. 디지털 뉴딜에 대해 “디지털 경제 기반이 되는 데이터 활용을 최대한 활성화하기 위한 이른바 '데이터댐'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방편을) 왜 한국판 뉴딜이라 부르는가”라며 대공황 시대 미국 뉴딜정책의 상징인 후버댐을 언급했다.
미국판 뉴딜은 세계 대공황시대에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이 위기 극복을 위해 채택한 정책이다. 핵심이 대규모 공공 토목사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었다.
데이터댐의 취지도 후버댐과 같다고 문 대통령은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이제는 대규모 토목사업을 통해 할 수는 없다”면서 “우리가 하고자 하는 디지털 뉴딜은 데이터댐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댐에 공공과 민간 데이터가 모이고, 모인 데이터는 표준화돼 서로 결합·가공된다. 이를 활용해 더 똑똑한 AI가 생겨나고, 기존 산업이나 혁신 산업 발전에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디지털 경제 기반을 만들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이 선도형 경제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이 된다는 설명이다.
문 대통령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표준화한 뒤 가공·결합하는 과정은 전부 사람의 작업에 의해 이뤄져야 한다. 그 과정에서 많은 일자리가 생겨난다”고 덧붙였다.
이날 문 대통령의 방문은 한국판 뉴딜에서 최우선 과제로 꼽히는 '데이터·AI 경제 활성화'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후버댐과 비교하며 데이터댐의 의미를 담은 것은 그동안 지적된 불명확한 디지털 뉴딜 개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미국판 뉴딜과의 차이점도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은 후버댐을 통한 미국 정책과 유사하면서도 확연히 말한다면 이제 시대에 따라 달라진 그런 모습”이라고 말했다.
데이터의 과감한 개방과 비식별 데이터 제작을 차별화 요인으로 짚은 문 대통령은 “우선은 공공과 민간에서 생성되는 많은 데이터가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과감하게 개방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개방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침해되는 일이 없도록 철저하게 비식별 데이터로 만들어내는 일도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날 행사에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윤성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 최문순 강원도지사 등이 참석했다.
청와대에선 이호승 경제수석, 박수경 과학기술보좌관, 석종훈 중소벤처비서관, 조경식 디지털혁신비서관이 함께했다. 업계에선 김용우 더존비즈온 대표, 송호철 더존비즈온 플랫폼사업부문 대표, 김현수 슈퍼브AI 대표, 서범석 루닛 대표, 임세현 BC카드 빅데이터 센터장 등이 자리했다.
한편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 자리에서 디지털 뉴딜 브리핑과 함께 데이터댐 개념을 보고했으며, 기업 관계자들은 △데이터 수집 및 가공(슈퍼브AI) △데이터 결합 및 활용(BC카드) △AI 서비스 개발(루닛) △기업 신용 분석·예측 서비스(더존비즈온) 등을 발표·시연했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
한국판 뉴딜, 첫 기업현장 행보
-
김지선 기자기사 더보기
-
안영국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