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인구가 올해 처음으로 비수도권 인구를 넘어설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10·20대가 학교와 직장을 찾아 서울로 이동했다.
통계청은 이같은 내용 등을 담은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과 향후 인구전망'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통계청은 올해 수도권 인구가 2596만명으로 비수도권 인구(2582만명)를 넘어설 것으로 추산했다. 통계청이 보유한 1970년 이후 인구통계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현상이다. 통계청은 1970년 이전 통계를 갖고 있지 않을 뿐 역사상 처음으로 나타난 현상으로 보고 있다.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넘어서는 현상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전반적인 인구는 감소하겠지만 수도권 집중도는 이어질 것으로 보는 것이다.
비수도권 인구의 수도권 이동 현상은 수 십년간 이어져 왔지만 2010년대 들어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정부부처의 세종시 이전으로 다소 주춤하다가 2017년부터 재시동이 걸렸다. 지방 이전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여파다.
비수도권 인구의 수도권 이동을 연령대별로 보면 10대와 20대의 수도권 유입이 최근 20년간 지속되고 있다. 30대 인구는 2018년 순유입으로 전환됐다. 수도권에서 유출된 인구보다 수도권으로 유입된 인구가 많다는 뜻이다. 40대 이상은 2008년 이후 순유출이다.
지역별로 보면 영남권과 호남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사례가 많다. 수도권으로 순 이동은 일단 서울이 가장 많다.
전입 사유를 보면 직업(2019년 6만4000명)이 압도적으로 많고 교육(2019년 2만1000명)이 차순위다.
가족이 함께 움직이는 것이 아닌 1인 이동이 많다는 것도 특징이다.
종합해보면 영호남에 살던 10·20대가 학교나 직업을 찾아 혼자 서울로 이동한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은 전반적인 현상이지만, 세종과 제주는 수도권 인구의 유입이 10년 안팎 이어지는 지역이다.
다만 수도권 내부의 지형도를 보면 서울은 사람이 빠져나가는 지역이다. 최근 20년간 순유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빠져나간 인구가 향한 곳은 경기도다. 일례로 2019년을 보면 서울에서 9만6000명, 인천에서 4000명이 경기도로 이동했다. 비싼 집값에 서울을 빠져나가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유재희기자 ryu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