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해 아시아 시장 경기 회복은 내년에야 가능할 것이란 IMF 전망이 나왔다. 사상 첫 아시아 지역 마이너스 성장도 예고됐다.
전경련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6일 오후 '코로나19 이후 세계 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 세미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첫 번째 기조연설자로 나선 앙가나 바네르지 IMF 시니어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 경기회복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당초 예상보다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면서 “본격 경기 회복은 2021년에서야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계 경제 회복이 지연되는 이유로 예상보다 길어지는 각국 봉쇄조치, 수출 수요 감소 등이 꼽혔다.
IMF는 지난 6월 세계 경제 성장 전망치를 직전 대비 1.9% 포인트 낮춘 〃4.9%로 발표했다. 앙가라 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19로 올해 사상 최초로 아시아 지역 성장률은 마이너스 1.6%를 기록, 2020년 아시아 총 생산은 코로나19 위기 발생 전 IMF 예상치보다 5% 포인트 낮은 수준일 것”이라면서 “위기 상황인 만큼 정책 당국은 국가 채무 관리, 금융시스템 안정화, 사회안전망 강화, 노동시장 유연화 등에 특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기조연설자인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근간으로 감염병 대응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시프트가 요구된다”면서 “바이러스 대응은 인류 공통의 전략적 신산업이 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시장은 하반기 경기 반등 가능성이 불투명해졌다는 진단도 나왔다.
윤여준 KIEP 선진경제실 미주팀장은 “2분기 미국경제는 경제활동이 상당 부분 재개되고 주요 경제지표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임에 따라 V자형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면서 “하지만 최근 코로나가 다시 확산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하반기 경기반등 가능성은 불투명해졌다”고 전망했다.
미중 갈등이라는 리스크가 장기화 될 것이란 예측도 나왔다.
양평섭 KIEP 중국경제실 선임연구위원은 “중국 정부는 2020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설정하지 않는 대신 3% 이상의 경제성장이 필요하다는 필요 성장률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면서 “중국은 여타 거대 경제권에 비해 코로나19 수습이 빨랐음에도 여전히 미중 무역마찰의 기술·금융 분야로의 확산, 홍콩 국가보안법 갈등, 미국과 체제 경쟁 격화 등 미중 갈등이라는 리스크 요인이 가중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소라기자 sr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