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이후 유통업계 주도권이 온라인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비대면 소비 확산 속에 전통산업으로 꼽혀 온 유통·패션·식음료 업계까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열기가 뜨겁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17% 수준인 온라인 매출 비중을 내년까지 30% 확대할 방침이다. 퀵배송·홈피팅 등 언택트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온라인 전용 브랜드를 출시, 통합 온라인몰 SSF샵 경쟁력을 높이기로 했다. LF도 LF몰을 종합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키우고 있다. 회사 온라인 매출 비중은 30%에 달해 패션 대기업 가운데 독보적이다. 한섬 역시 온라인 매출 비중이 지난해 11%에서 올해 1분기에 코로나19 효과로 15%까지 치솟았다.
5월 온라인 패션상품 거래액은 지난해 대비 5.8% 증가한 3조8477억원을 기록했다. 반면에 오프라인은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다. 5월 백화점에서 여성 캐주얼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2.4% 급감했고, 남성 의류도 15.8% 줄었다.
식음료업계도 마트나 일반점포 이외 온라인 판매를 크게 늘리고 있다. 주요 식음료업체는 자체 온라인 상품몰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배달 전용 상품도 늘고 있다. 우리나라 온라인·모바일 쇼핑 환경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신선회를 온라인으로 주문해 먹을 수 있고, 식빵과 음료를 신문처럼 구독해서 받아 볼 수도 있다. 늦은 밤 주문한 식자재를 새벽에 받아 볼 수 있는 일도 해외에선 드문 일이다.
유통업계의 디지털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디지털로 무장한 유통산업은 소비자 효용도 높이고 있다. 코로나19는 유통업계의 디지털 변화 촉매제가 되고 있다. 유통업계 변화를 주도하는 것은 역시 정보통신기술(ICT)이다. 디지털 마인드와 업무 방식을 전 분야로 확산해야 한다. 시장을 열고 찾아오는 손님을 기다려서 상품을 판매하는 것은 옛 접근 방식이다. 다양한 프로모션과 차별화한 서비스를 통해 고객을 잡고 매출을 올려야 하는 시대다.
et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