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업계가 '코로나19'로 올해 4∼6월 수출이 급감한 탓에 이달부터 유동성 위기에 놓이게 됐다고 호소했다.
자동차산업연합회는 7일과 9일 이틀 간 15개 완성차와 부품업체를 대상으로 한 간담회에서 자동차 부품업계의 어려운 현실이 논의됐다고 9일 밝혔다.
자동차 부품업계는 수출 이후 대금이 지급되기까지 2개월의 시차가 있어 올해 6월까지는 1∼3월에 수출한 대금으로 견딜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4∼6월 수출이 47%나 감소하며 대금을 받는 7월부터 유동성의 위기에 놓이게 됐다고 주장했다.
한 부품 업체는 올해 초부터 자체 자금을 투자해 신차의 주요 부품을 개발 완료하고, 글로벌 업체에 납품할 계획이었으나, 코로나19로 수출 물량이 감소하며 유동성 문제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이 업체의 부품을 납품받아 자동차를 생산하는 완성차 업체는 부품이 하나라도 없으면 완성차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된다며 유동성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라고 요청한 상태다. 자동차 부품업계는 또 고용유지지원금 신청 절차를 단순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150명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한 부품업체는 5월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했으나 근로자 개개인이 고용유지계획서를 제출해야 하고 근로계획이 변경될 때마다 재신청해야 해 6월 지원금 신청을 포기했다고 말했다. 부품업계는 미국의 경우 매출 감소 등 사업적 손실 증빙과 고용유지 계획만 제출하면 된다며 우리나라 제도의 복잡성을 지적했다.
또 최저임금을 결정할 때 유동성의 위기와 경영난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며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을 연기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환경부의 환경 규제 강화와 관련, 우리나라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환경 규제를 도입하고 있다며 자동차 업체에 추가적인 부담을 지워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또 온실가스 배출권 유상할당 업종을 자동차업계까지 확대할 경우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최대 2000억원 이상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4월 이후 글로벌 수요급감으로 인한 유동성 위기가 이제부터 현실화되는 상황”이라며 “기간산업안정기금, 상생협약보증 등 정부의 지원대책이 현장에서 적기에 차질없이 이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