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학교에 에듀테크 서비스 구매 재량권을 줘야 관련 교육과 산업 활성화를 동시에 이룰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K-에듀테크'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언택트) 대표 주자로 키우려면 공공교육 현장에서 활용 범위가 넓어져야 한다는 주문이다.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개최된 '미래교육 전환 및 한국판 뉴딜 신성장산업 육성을 위한 에듀테크 세미나'에서 임재환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 산업진흥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은 “영국처럼 우리나라도 학교에 (에듀테크 도입) 예산과 재량권을 줘야 학교가 수업에 필요한 솔루션이나 제품을 즉시 구매할 수 있다”면서 “이를 통해 다양한 미래 교육 접목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공교육 활용도가 높아지면 이를 바탕으로 국내 에듀테크기업의 해외 진출도 용이해질 것이라는 의견이다.
영국 정부는 교사가 다양한 에듀테크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사이트 '렌드에드'와 영국교육기술박람회(BETT SHOW)를 전폭 지원하고 있다. 렌드에드는 교사의 선택권을 넓혀 주면서 동시에 에듀테크 기업의 경쟁력을 기르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 학교는 현장 교사가 교실·학생 현황에 맞춰 자율적으로 유료 에듀테크 서비스를 도입·활용할 제도 기반이 없다.
임 위원장은 “정부가 에듀테크 서비스를 주도하려 하지 말고, 영국처럼 민간에게 시장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대준 성균관대 교수도 “교원의 온라인 수업 조사결과 공공 원격수업 플랫폼보다 민간 기업 플랫폼 만족도가 훨씬 높았다”며 “에듀테크 산업 생태계를 위해서는 민간의 참여가 필수”라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원격 수업이 일상이 된 만큼 이러닝산업법 전면 개정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길호 에듀테크산업협회장은 “현재 선언 성격의 이러닝산업법을 실효성 있는 법으로 전면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회장은 “한국판 뉴딜 '데이터 댐' 구축에서 데이터 서비스 대표 신산업으로 에듀테크 산업의 중요성이 대두됐다”면서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기존 이러닝산업법의 전면 개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이후 주요 국가들이 에듀테크로 미래교육을 앞당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황대준 교수는 “잘사는 나라와 못 사는 나라간 직업의 양극화가 더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차이를 줄이기 위한 국가들의 교육 수요가 높다”며 “또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늘고 있기 때문에 평생 교육시장 규모도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 성장세도 가파르다. 세계 에듀테크 시장은 2018년 1530억달러였지만 2025년 3420억달러로 급성장할 것이 예상된다.
노규성 한국생산성본부 회장은 “교육은 인종, 국가, 성별, 사회적 환경을 초월한 공통의 관심 분야이기 때문에 해외 시장의 국가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에듀테크 상품으로 수출 가능하다”고 말했다.
토론회는 국회 신성장산업포럼(공동대표 김진표·홍영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주최,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 주관으로 열렸다.
김진표 공동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이 발표한 한국판 뉴딜로 에듀테크가 새로운 기회를 만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K-에듀테크로 세계를 선도하는 한국 기업이 나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홍영표 공동대표는 “에듀테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코로나19 이후 교육 환경도 많이 바뀔 것이기 때문에 이번 행사를 통해 에듀테크 비전을 공유하고 향후 방향을 고민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