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코로나 쇼크로 경제위기 우려↑"

코로나19 악영향으로 기업부채 부실화에 따른 경제위기 발발 가능성이 있어 2차 유행과 장기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삼정KPMG(회장 김교태)는 20일 '경제에 울리는 경고음, 부채 리스크와 코로나 쇼크'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표. 코로나19에 따른 위기 발생 파급 경로 (자료=삼정KPMG)
표. 코로나19에 따른 위기 발생 파급 경로 (자료=삼정KPMG)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금융 기관의 과도한 레버리지, 파생상품 관련 금융기관의 건전성 이슈가 원인이 돼 실물로 위기가 전이됐다. 반면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는 실물에서 일어난 복합적인 공급·수요 충격이 장기화돼 금융부문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글로벌 GDP 대비 부채비율은 322%에 달해 사상 최고치로 치솟았다. 비금융 기업 부채규모는 2009년 48조달러에서 55% 증가한 74조4000억달러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세계 비금융 기업 회사채 발행규모도 지난해 기준 13조5000억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기업부채 질이 크게 낮아진 것도 우려된다고 꼽았다.

신용등급이 강등되면 정크본드로 전락하는 BBB등급(투자적격등급 회사채 중 가장 낮은 등급) 회사채가 지난해 말 기준 3조8000억달러에 달해 세계 회사채의 30%를 차지했다.

게다가 지난 3월 기준 2조8000억달러로 추산되는 미국 하이일드채권·레버리지론 같은 고위험 부채 규모는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2배 이상 상회하고 있다. 향후 3년간 만기가 도래하는 세계 비금융 기업 회사채는 4조4000억달러로 전례 없는 규모다.

보고서는 특히 글로벌 교역이 심각하게 감소하는 등 세계 산업의 가치사슬 붕괴가 현실화되고 있다고 봤다. 산업활동이 마비되면서 공급과 생산뿐만 아니라, 일부 업종을 제외한 소비활동도 크게 위축되는 등 복합위기에 당면했다고 분석했다.

매출 감소로 자금난을 겪는 한계 기업의 파산이 리테일, 관광, 항공, 에너지 등의 업종을 중심으로 가시화되는 등 코로나19로 인한 실물경제 악화가 기업 유동성을 압박해 기업부채 부실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기업부채 부실화로 인해 금융권 손실 위험이 커질 수 있고 금융권으로 위기가 전이돼 경제위기가 촉발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삼정KPMG는 과거 팬데믹 사례와 현재 백신·치료제 개발 현황 등을 고려하면 하반기 2차 유행 가능성이 높아 코로나19 영향이 장기화돼 경기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또 2차 유행과 장기화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기업이 건전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리스크를 사전 식별·관리해 위기 선제 대응 역량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