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 진단

콧물 검사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를 조기 선별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 치매 진단을 위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은 문제일 뇌·인지과학전공 교수 연구팀이 치매 환자의 콧물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핵심 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베타(Amyloid-β)' 응집체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간단한 콧물시료 검사로 치매환자를 조기 선별할 수 있는 기술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문제일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왼쪽)와 제1저자인 손고운 석박사통합과정생
문제일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왼쪽)와 제1저자인 손고운 석박사통합과정생

치매환자의 70%는 가장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고 있으며, 이 중 약 60%는 치매 정도가 경미한 최경도 및 경도 환자다. 치매의 근원적 치료법이 없는 상황에서 경미한 치매 상태를 조기에 발견하면 증세 악화를 막거나 지연가능하다. 하지만 고비용의 뇌영상 촬영이나 환자 고통을 수반하는 뇌척수액 시료채취가 필요한 침습적인 검사법은 초기 진단이 쉽지 않다.

콧물을 활용한 알츠하이머치매 조기선별 키트 활용 예시
콧물을 활용한 알츠하이머치매 조기선별 키트 활용 예시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 나타나는 후각기능의 이상에 주목했다. 환자의 콧물 시료를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 핵심 바이오마커인 수용성 아밀로이드-베타 응집체 검출에 성공했다. 그리고 단백질 발현 여부를 확인하고자 면역블롯 분석을 이용해 경도 및 중등도의 인지저하를 가진 환자 그룹과 정상 대조군 그룹 사이 차이를 확인했다. 환자의 콧물에 아밀로이드-베타의 응집체 발현이 더 높았다.

연구팀은 지난 3년간 종단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며 콧물 속에 더 높은 응집체 발현을 보인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3년 이내에 인지능력이 더욱 악화됨을 확인했다. 콧물에서 감지되는 아밀로이드-베타 응집체 양에 따라 향후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행의 심각도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는 점도 추가로 규명했다.

문제일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를 활용해 조기선별키트를 개발 중이며, 이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조기 검사를 받게 돼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국가적으로도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에는 가천대학교 이영배, 장근아 교수, 경희대학교 황교선 교수, 연세대학교 김영수 교수 연구팀이 참여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세계적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에 소개됐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