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지난 6월 4일부터 약 1개월간 실시한 '낙동강 하굿둑 운영 3차 실증실험' 결과 1달간 개방 때에도 염분 확산 정도가 거의 없었다고 3일 밝혔다.
조사는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부산광역시, 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이뤄졌다. 지난해 6월과 9월 실시한 실험 단기간 개방 영향을 확인하는 목적이었다면, 이번 실험은 하굿둑을 장기간 개방했을 때의 염분 확산 정도 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했다. 실험에서는 1∼3시간이내에서 12회 개방했다.
또 하굿둑 내측 하천수위보다 외측 바다조위가 높아 바닷물이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이른바 '대조기(밀물이 가장 높을 때)'에 바닷물 유입방식을 가정해 현실과 가까운 실험이 되도록 설계했다. 첫 대조기 기간인 6월 4일부터 8일까지 총 5일 동안 하루에 한 번씩 수문 1기를 개방해 258만㎥의 바닷물을 유입시켰다.
유입된 염분은 밀도 차이에 의해 하천의 바닥으로 가라앉아 상류로 이동했고, 유입 횟수가 반복될수록 하천의 저층에서 염분의 농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기간에 염분은 최장 11㎞ 지점에서 확인되는 등점차 상류로 올라가는 추세를 보이다가 강우 영향으로 더 이상 확산되지 않았다. 두 번째 대조기인 6월 19일부터 25일까지 7일 동안 하루에 한 번씩 총 7회에 걸쳐 614만㎥의 해수를 다양한 방식으로 유입시켰다.
이 기간에 염분은 최장 12.1㎞ 지점에서 확인됐고, 실험 이후 유입된 염분은 환경대응용수와 강우 방류 등을 통해 대부분 희석됐다.
첫 대조기와 두 번째 대조기 사이 기간에는 수문 1기를 위로 열어 수문 아래로 바닷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소통 가능성을 점검했다.
실험결과 개방 이후 둑 상류에서 전반적으로 물고기 종수와 개체수가 증가했고 고등어, 농어, 전갱이 등 바다나 기수역에 사는 어류가 수문을 통과해 둑 상류까지 올라 온 것을 확인했다.
환경부는 수문 개방시 지하수 염분 확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올해 총 287곳으로 지점에서 지하수 염분을 확인한 결과 주변 지하수 관정에서 유의미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고 전했다.
앞으로 주관기관은 앞선 두 차례의 단기실험과 이번 장기실험의 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올해 안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
-
이경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