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부의 전기차 충전기 보급 물량이 지난해 대비 3분의 1로 크게 줄어들면서 충전서비스 업계가 경영난을 겪고 있다. 지금까지 충전서비스 수익모델 발굴이나 고도화가 아닌 주로 정부 보조금 사업에만 의존했던 게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일각에서는 이번 기회에 정부의 충전기 보조금 제도를 폐지하고, 충전 이용률에 따른 서비스 인센티브 방식의 정부 지원으로 전환하자는 의견을 내놓는다. 지금이 정부 보조금 의존형 사업에서 벗어나 자생적인 시장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최적기라는 이유에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복수의 충전서비스 업계가 충전사업 구조조정을 진행하거나 추진 중이다. 최근 한국전력의 충전용 전기요금 할인 혜택이 단계적으로 폐지되면서 매달 고정비가 늘었다. 또 올해 정부 충전기 물량이 작년 2만4000기에서 8000기로 줄면서 업계의 가장 큰 수익사업이 위축됐기 때문이다.
이에 충전 업계는 정부 보조금에 의존했던 지금의 수익구조를 시장 논리에 따른 서비스 모델로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는데 목소리를 높인다.
애초부터 정부가 국내 충전시장에 개입하다 보니 시장원리에 따른 요금 등 정상적인 시장 환경이 조성되지 않은 상황에 정부 보급 사업에만 초점이 맞춰지다 보니 제품이나 서비스를 고도화시킬 여유조차 없었다. 정부 조금 지원 규정에 맞는 제품만 개발·생산하다 보니 다른 차별화된 제품이나 기술 개발에 선뜻 나서지 못했다.
여기에 충전요금에 해당하는 전기요금까지 정부가 제한하다보니 충전서비스로는 정상적인 수익을 낼 수 없었던 것도 사실이다.
이에 앞으로 충전기 보조금 제도를 제품 보급·설치에 따른 지원이 아닌, 이용률에 따라 정부가 일정부분 지원하는 인센티브 형태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정부가 충전기 사용량을 확인하고,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했다는 데이터를 근거로 보조금을 지원하는 형태다.
㎾h당 충전요금이 300원이라면 고객에게는 200원을 받고, 부족한 100원을 정부가 보조해 주는 형태다. 고객에게는 현실적인 충전요금을 제시하면서, 사업자는 사업성을 보전 받을 수 있다.
특히 지금처럼 보조금을 따내기 위해 무분별하게 충전기를 설치하는 것을 막고, 사업자가 충전기를 설치할 때도 수요를 고려하기 때문에 사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충전기 제품 개발 역시 지금까지는 정부 사업이 전부다 보니 무조건 가격경쟁력에만 집중했지만, 앞으로는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 안정성 등 집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내헌 한국전기차산업협회 부회장은 “지금까지 충전업계가 정부 보조금에만 모든 전략을 맞추다보니 서비스 발굴이나 충전기 기술 개발, 다양화에 크게 신경쓰지 못했다”며 “이참에 충전기 보조금을 없애고, 다양한 서비스 모델 창출을 유도하는 지원책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