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김경만 교수팀, 세포막 수용체 새로운 조절원리 규명

전남대 김경만 교수팀이 세포막 수용체 조절원리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전남대 김경만 교수팀이 세포막 수용체 조절원리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전남대 김경만교수(약학부)연구팀이 세포막 수용체 조절원리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12일 전남대에 따르면 김 교수팀은 보다 약물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약물의 효과가 점차로 약해지는 '탈감작(desensitization)' 현상에 대한 원리를 새로운 관점에서 제시했다. 약물을 반복적으로 투여하면 특정 단백질이 붙고 떨어지는 과정을 통해서 GPCR( 단백질 연결 수용체)의 신호전달 인자인 Gβγ를 격리시킴으로써 신호전달이 저하되고, 탈감작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새로운 약물 개발이나 기존 약물의 적절한 치료효과를 달성하는 기준으로 활용 될 수 있다. GPCR은 세포막에 존재하는 수용체 가운데 하나다. 약 1,000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현재 처방약물의 30-40% 정도가 GPCR을 활성화시키거나 차단해 치료효과를 발현하고 있다.

앞서, 지난 20-30년 동안 GPCR의 탈감작을 결정하는 핵심 인자는 GPCR의 인산화로 알려져 2012년 노벨상 수상에 기여했음에도 이 원리는 극히 일부 GPCR에만 적용 가능할 정도로 한계를 지녀왔다.

김 교수팀은 세포막 수용체에 대한 몇 가지 조절원리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Biochemical Pharmacology(JCR 10%) 등에 연구논문 3편을 게재됐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지원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김 교수는 “이 연구는 기존 GPCR 조절 개념과 차별성을 띠며 다양한 종류의 GPCR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관련분야 연구에 파급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광주=고광민기자 ef7998@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