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거래소가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잇따라 연구개발에 나섰다. 중·단기 전력공급 전망방법론을 개발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 활용 방안도 찾는다. 정부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른 효율적인 에너지 운영방안을 선제적으로 만들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전력거래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단기 공급신뢰도 평가방법론에 관한 연구'와 '재생에너지 확대와 계통관성 감소 영향에 대비한 ESS 활용 방안' 용역을 이번 달과 지난 달 각각 발주했다고 18일 밝혔다.
전력거래소는 우선 중·단기 공급신뢰도 평가방법론에 관한 연구 전력수요 신뢰도 모델을 새로 개발한다. 전력수요·발전원별 모델링 기법과 기상 민감도, 고장정지 등 수요와 공급 불확실 변수를 반영한 전력수요 공급신뢰도 전망 기법을 개발한다. 공급신뢰도 전망을 위한 표준화 된 방법론도 제시한다.
공급신뢰도 전망 방법론을 새로 개발하기 위해 기존 방법도 검토한다. 전력 공급 신뢰도와 연관된 전력수요와 비중앙 발전 실적을 분석하고 해외 사례도 조사한다. 현재 중·단기 공급신뢰도 전망 방법론의 적정성도 평가한다.
해외 기관별 공급신뢰도 전망 방법 사례도 찾는다. 전력수요·발전원별 모델링 기법과 기상민감도·고장정지 등 불확실성을 높이는 변수를 반영한 기법 사례를 찾는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전력계통 특성에 맞는 공급 신뢰도 전망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전력수요·발전원별 모델링 기법과 기상민감도·고장정지 등 수요·공급 불확실성 변수 반영 기법을 조사한다.
전력거래소는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ESS 활용방안도 연구한다.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관성 저하에 대비해 해외 사례를 분석한다. 국내외에 설치된 ESS 응답특성과 출력 지속시간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전력계통 신뢰도 유지에 필요한 1차 예비력과 ESS 최적 설비용량을 찾는다는 구상이다.
정부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커지고, 이로 인한 불확실성을 선제적으로 없애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정부는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비중을 2030년까지 20%로 확대할 계획이지만 신재생에너지 특유의 간헐성 때문에 전력계통 불안을 야기한다는 지적도 있어왔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원전이나 석탄 같은 동기발전기는 큰 터빈이 돌아가면서 계통관성을 유지하고 안정성이 높지만 신재생에너지는 관성이 일정 수준이 안 될 수 있다”면서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가운데 ESS 계통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려는 차원”이라고 밝혔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
변상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