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내년을 기점으로 행정과 대민 서비스에 인공지능(AI) 도입을 적극 추진한다. 챗봇 시스템을 내·외부 업무에 확대하고 AI를 통해 시정 과제와 현황을 발굴·파악하는 등 지방자치단체 행정 디지털화에 나섰다.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2021년 AI 서비스 구축 운영계획'을 수립했다. 업무 효율을 높이고 데이터 기반 행정을 펼치겠다는 것이다.
이 계획은 △AI 챗봇시스템 확대 △AI 시정 주요현황 예측시스템(의사결정지원) ISP 수립 △AI 기반 하수관로 결함탐지 학습데이터 구축(2단계) △AI 방역 및 시정안내 로봇 도입 △AI 회의록지원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AI 챗봇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등을 주요 목표로 제시했다.
눈에 띄는 것은 AI를 활용해 시정 주요현황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AI가 관여하는 데이터현황·정책수요 분석을 실시해 시정 과제 실효를 높인다.
시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IoT센터 행정데이터와 중앙정부, 이동통신사데이터, 사회망관계서비스(SNS)데이터를 모아 분야별 과제를 발굴하는 것을 제시했다.
해당 시스템이 가동되면 자치구별 맞춤 사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성북구 주민을 위한 찾아가는 전시' '이태원 피자 페스티벌' 같은 사업을 기획할 수 있다. 시는 이미 올해 다음소프트와 함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47개 서울 시민 라이프스타일'을 도출하는 등 관련 실험을 진행했다.
예측 시스템은 내년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해 이르면 2022년부터 시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자체가 시정현황을 AI로 파악하고 대안까지 도출하는 것은 세계적으로도 아직 정립된 사례가 없다. 희귀한 시도로 기록될 전망이다.
시는 직원용 업무 챗봇도 구축할 계획이다. 인사, 복무, 계약 등 서울시 내부 직원들이 자주 문의하는 단순·반복 질의에 대해 챗봇이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다. 담당직원을 찾거나 행정포털 검색하는 대신 AI를 통해 실시간으로 답변을 받아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대민 서비스에서는 올해 운영을 시작한 챗봇 서비스 '서울톡' 답변 매칭률을 높이고 예약 등 기능을 추가한다. 청사 로비에 AI 로봇을 배치해 민원인 응대를 맡기는 것도 구상 중이다. 마스크 여부를 가리고 체온을 측정하는 등 비대면 방역 업무에 효과적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운영계획은 예산작업 등이 남아 있어 확정된 사안은 아니다”라면서 “예측 시스템의 경우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할지 혹은 의사결정에도 AI가 참여할 수 있을지 여러 가능성을 두고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AI 사업 추진 시, 시스템을 모듈 추가형 플랫폼으로 만들 방침이다. 사회 전 분야에서 AI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해 서비스 확장성을 확보하는 차원이다. 사업 추진과정에서 마련한 행정 분야 AI 학습데이터는 민간에 개방해 AI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