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를 내년 중순께 기초과학연구원(IBS) 안에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난항의 연속이었다. 애초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부설기관으로 설립하는 방안을 들고 나왔지만 돈줄을 쥐고 있는 기획재정부가 난색을 표했다. 대안으로 IBS가 떠올랐지만 논의 과정에서 수차례 결정이 뒤집혔다.
정부 밖에선 아예 설립 자체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보건복지부가 설립을 추진하는 국립감염병연구소와 기초 연구를 이원화하는 게 비효율이라는 이유에서다.
진통을 겪으면서도 정부가 바이러스연을 설립하기로 한 것은 결국 기초 연구의 필요성을 인정했기 때문이다.
바이러스 기초 연구는 단기 성과가 나오기 어렵다. 지식 호기심에서 출발하는 연구가 주를 이룰 공산이 높다. 어떤 연구가 훗날 어떤 성과로 치환될지 예상하기도 어렵다. 여느 기초 연구처럼 누군가는 '쓸모없는 연구'라고 치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세계 추세를 보면 그 쓸모없어 보이는 연구로부터 치료제, 백신 개발의 실마리가 나오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하나같은 주장이다.
아쉽게도 우리나라의 바이러스 기초 연구 수준은 주요 선진국에 미치지 못한다. 진단 키트 개발 등 응용 측면에선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지만 바이러스 자체에 대한 지식의 깊이는 얕다. 이 때문에 바이러스 연구에서 상당 부분을 해외 선행 연구에 기대고 있는 실정이다.
바이러스연의 역할은 명확하다. 이런 상황을 차츰 바꿔 나가야 한다. 그동안 우리가 모르고 있거나 관심조차 두지 않은 바이러스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다양한 정보를 축적해서 제공해야 한다. 그로 인해 코로나19, 나아가 언제가 다시 닥칠지도 모르는 팬데믹에 우리가 지금보다 한층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동인을 제공해야 한다.
이것이 바이러스 기초 연구의 필요성을 입증하는 방법이다. 바이러스연이 필요성 논란을 불식시키고 존재감을 드러내길 기대한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